Publications

경제위기 이후 도시근로자가구의 빈곤역동성 및 빈곤기간 연구 = A Study on the Poverty Dynamics and the Poverty Duration of Urban Worker Households after the Economic Crisi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현수
dc.date.accessioned2011-01-05T06:23:54Z
dc.date.available2011-01-05T06:23:54Z
dc.date.issued2002-07-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5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경제위기 이후 근로빈곤층의 빈곤역동성 및 빈곤기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경제위기 직후인 1998년 1분기부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시행 직전인 2000년 2분기까지 총 10분기 동안의 통계청 도시가계조사 원자료를 바탕으로 도시근로자가구의 패널데이터를 구성하여, 가구의 빈곤진입 및 빈곤탈피 등 빈곤역동성과 빈곤지속기간에 따른 빈곤탈피 확률, 빈곤경험기간에 따른 집단별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정책적 함의를 요약하면, 첫째, 5~6%였던 빈곤역동성 지수는 1999년 2분기 이후 3~4%대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경제위기를 극복하면서 빈곤역동성의 정도가 다소 완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빈곤을 경험했던 가구의 약 2/3가 1분기 동안 일시적으로 빈곤에 머무른 반면, 4분기 이상 지속적으로 빈곤상태를 유지한 경우는 전체의 약 10%에 불과했다. 셋째, 빈곤이 지속됨에 따라 빈곤으로부터 탈피할 가능성은 점차 감소하였는데, 이는 빈곤진입 초기에 빈곤탈피에 실패하여 장기화 될수록 빈곤에서 벗어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짐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단기빈곤 가구의 경우 장기빈곤 가구보다는 오히려 비빈곤 가구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빈곤진입 초기에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탈빈곤 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e poverty dynamics and the poverty duration of the working poor.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the study composed the 10 quarters panel data of urban worker households, with the reference to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rom the first quarter of 1998(just after the economic crisis) to the second quarter of 2000(just before the Minimum Standard Living Guarantee System).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overty dynamics index, which was about 5~6% at the economic crisis, went down to 3~4% after the second quarter of 1999. This shows that the poverty dynamics became stable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economic crisis. Second, Two-thirds of households, which once had experienced poverty, stayed in poverty transiently for only one quarter. On the other hand, only about 10 percent of households have stayed in poverty for more than four quarters. Third, the longer the poverty duration is,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escaping from poverty. This means if low-income families failed to escape from poverty in its early stage, it would be increasingly difficult for them to get out of poverty.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rt-term poor household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non-poor households in many resp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序論 Ⅱ. 先行硏究 檢討 Ⅲ. 硏究方法 Ⅳ. 硏究結果 Ⅴ. 結論 및 政策的 含意 參考文獻 Summary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경제위기 이후 도시근로자가구의 빈곤역동성 및 빈곤기간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Poverty Dynamics and the Poverty Duration of Urban Worker Households after the Economic Crisi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근로빈곤층
dc.subject.keyword빈곤역동성
dc.subject.keyword빈곤지속기간
dc.subject.keyword빈곤경험기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현수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22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37
dc.citation.endPage6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22권 제1호, pp.37-6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22 No.1, pp.37-66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