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 여성의 만성질환 현황과 정책과제 = Women’s Chronic Diseases and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제목
한국 여성의 만성질환 현황과 정책과제 = Women’s Chronic Diseases and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저자

김남순 ; 송현종

발행연도
2004-07-0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복지포럼 2004년 7월 통권 제93호, pp.39-46
초록
우리나라의 여성건강에 대한 그간의 논의는 임신, 출산과 관련된 재생산 문제나 남성과의 신체적 차이에서 비롯된 특수한 질환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서 남녀 모두에게 존재하는 건강 문제, 혹은 이들 문제에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관심은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여성의 건강상태는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맞물려 있는데, 기존의 연구들은 이 점을 간과하였다는 점에서 미흡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논의가 부족하였던 주요 만성질환을 대상으로 유병 및 사망양상을 생애주기에 따라 성별 및 사회경제적 요인별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고,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의 전반적인 만성질환 유병률은 남자보다 높으며, 이로 인하여 활동제한을 경험하는 여성도 남성보다 많았다. 수명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주요 질병의 유병률이 남자보다 낮지 않고, 낮은 경우라고 하더라고 중년이후 혹은 노년기의 유병률은 남자와 비슷하거나 훨씬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만성질환에서 사회계층을 나타내는 지표인 소득, 교육수준과 유병률의 관계가 매우 뚜렷하게 역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낮은 사회계층에 속한 여성의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문제는 그 어느 집단보다도 심각한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여성의 만성질환 관리 정책은 다음 두 가지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첫째는 전체 현재의 만성질환 관리체계에서 성인지적 관점이 반영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만성질환 관리정책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안을 마련하고 제시하는 것이며, 둘째는 만성질환의 관리체계에 성인지적 관점을 반영해야 된다는 당위성에 대한 주장만으로 해결될 수 없으므로, 끊임없이 여성건강에 대한 통계를 생산하고, 정책을 내오며 각 질병의 생애주기별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반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성건강증진을 위한 기반구축 영역에서 주장한 여성건강센터의 설립은 만성질환 관리분야에서도 보다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정책 측은 질병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1. 서론
2. 만성질환 현황
3. 결론 및 정책과제
URI
http://dx.doi.org/10.23062/2004.07.3
ISSN
1226-3648
DOI
10.23062/2004.07.3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