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미래 질병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비 =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Korea's Future Disease Threa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채수미
dc.contributor.author신지영
dc.contributor.author백주하
dc.contributor.author이수빈
dc.contributor.author김태종
dc.coverage.temporal2023-01-01 - 2023-12-31
dc.date.accessioned2024-03-19T05:29:55Z
dc.date.available2024-03-19T05:29:55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8896827984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827
dc.description.abstract국가별 세부 보건사업은 미래의 건강과 질병에 위협이 되는 요인을 고려하여 구체화될 수 있으며, 미래의 위험 요인은 보건정책의 방향과 전략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 보건정책은 법적 근거를 토대로 여러가지 국가 대책 및 계획이 수립되어 왔으며, 이들 계획은 각각의 계획이 가지는 기본 목적에 충실하기는 하지만 국가의 미래 수요와 사회환경 변화에 대한 검토가 충분하지 않아 미래를 대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미래의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를 고려하여 정책 방향성을 검토하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으나, 급변하는 환경을 고려하여 미래 이슈를 주기적으로 예측하고 전문가와 사회적 의견을 수렴하여 보건의료정책을 수립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미래의 질병 위험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전문가의 의견을 파악하여 미래의 위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위험 요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보건의료정책이 지속가능한 건강 안전망으로 작동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abstractNational health strategies can be detailed by considering future health and disease threats. Similarly, future disease threat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health policy. Recently, som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health policy, considering issues affecting future health and disease. However, give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continuous efforts to predict future health threats and collect the social opinions of experts periodically are needed to establish targeted healthcare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future health threats by investigating social perceptions and expert opinions on future risk factors and suggest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health policies based on the derived risk fa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제2장 선행 연구 및 정책 고찰 21 제1절 미래 위험 예측에 관한 선행 연구 23 제2절 미래 위험 대비 관련 국외 정책 조사 37 제3장 언론에서 나타난 한국 사회의 미래 질병 위험 이슈 51 제1절 분석 내용 및 방법 53 제2절 분석 결과 63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99 제4장 보건의료 분야 전문가의 미래 질병 위험 인식 109 제1절 조사 방법 111 제2절 조사 결과 117 제3절 시사점 139 제5장 국민의 미래 질병 위험 인식 149 제1절 조사 방법 151 제2절 조사 결과 157 제3절 시사점 170 제6장 결론 173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75 제2절 미래 질병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과제 182 참고문헌 187 부 록 195 부록 1 국민 인식 조사표 195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1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의 미래 질병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비
dc.title.alternative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Korea's Future Disease Threat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미래 질병 위험
dc.subject.keyword토픽모델링
dc.subject.keyword호라이즌 스캐닝
dc.subject.keyword합의형성 워크숍
dc.subject.keyword미래 보건 이슈
dc.subject.keywordfuture disease threats
dc.subject.keywordtopic modeling
dc.subject.keywordhorizon scanning
dc.subject.keywordconsensus workshop
dc.subject.keywordfuture health issue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e, Su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Ji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k, Juh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ub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Tae-Jo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3.30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3-30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3-30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3-19T05:29:55Z
dc.date.datesubmitted2024-03-19T05:29:55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001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3-001-00]한국의 미래 질병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비
dc.subject.kihasa미래질병위험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