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 관리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e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at Long-Term Care Providers and Policy Options for Improvemen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세진
dc.date.accessioned2024-02-22T00:29:38Z
dc.date.available2024-02-22T00:29:38Z
dc.date.issued2024-02-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670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4.02.4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2022년 장기요양실태조사의 기관 영역 결과를 바탕으로 한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 관리 현황 검토와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제도적 차원에서의 개선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장기요양기관들은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국가최소기준 이상으로 인력을 추가로 채용하고, 비공식 인력을 활용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었다. 다만 방문형 급여 제공 기관의 수시 또는 야간방문 서비스 운영과 고난도 돌봄 대상자 추가 인력 투입과 같은 인력 활용을 통한 서비스 질 향상 노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노인요양 시설은 이용자의 자율성 보장, 전문적 돌봄서비스 제공, 권리 보장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식사 서비스 관련 선택권 보장, 소규모 단위 돌봄(치매전담실 포함), 새로운 기술의 적용(디지털 재활 기기 활용, 노인 실종방지시스템 마련)에 대한 노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article, I explore how long-term care providers manage service quality, drawing on the 2022 Long-Term Care Survey, and propose policy options to enhance the long-term care offered by these organizations. This study found that long-term care provider organizations often employ an additional workforce of informal employees, beyond the minimum required by national regulations, in an effort to deliver quality services. However, quality management efforts, such as employing an additional workforce, were found to be relatively insufficient in providing visiting care—such as occasional day or nighttime services—or highly demanding care. Facilities offering day and nighttime care, short-term care, and long-term care demonstrate considerable effort in safeguarding users’ autonomy and rights and delivering professional care. However, they were found to be less committed to safeguarding users’ right to choices regarding meal service, enhancing services in small-group care settings (including dementia care), and adopting new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rehabilitation devices and location trackers for seniors. Based on these findings, I suggest policy option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at long-term care organizations.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1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 관리 현황과 과제
dc.title.alternativeCurrent State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at Long-Term Care Providers and Policy Options for Improvement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장기요양기관
dc.subject.keyword서비스 질
dc.subject.keywordLong Term Care Facility
dc.subject.keywordService Quality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ejin
dc.identifier.doi10.23062/2024.02.4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4
dc.citation.volume328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24-02-01
dc.citation.startPage36
dc.citation.endPage5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4년 2월 통권 제328호, pp.36-5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4.2 No.328, pp.36-53
dc.date.dateaccepted2024-02-22T00:29:38Z
dc.date.datesubmitted2024-02-22T00:29:38Z
dc.description.subject2022년 장기요양실태조사를 통해 본 장기요양의 현 주소와 시사점
dc.description.subjectCurrent State and Implications of Long-Term Care as Seen Through the 2022 Long-Term Care Survey
dc.subject.kihasa노인복지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