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UDIT-K 척도의 요인구조 및 측정불변성 검증: 내포(nested) 모형 비교를 위한 RMSEAD 지수의 활용을 중심으로 = Validating the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AUDIT-K Scale: Focusing on the Use of the RMSEAD Index for Nested Model Comparison

제목
AUDIT-K 척도의 요인구조 및 측정불변성 검증: 내포(nested) 모형 비교를 위한 RMSEAD 지수의 활용을 중심으로 = Validating the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AUDIT-K Scale: Focusing on the Use of the RMSEAD Index for Nested Model Comparison
저자

박병선 ; 이선영

저자(타언어)
Park, Byung-Sun ; Lee, Sun-young
키워드
AUDIT-K ; 음주 문제 ; 한국복지패널 ; 요인구조 ; 측정불변성 ; RMSEAD
발행연도
2023-12-3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3권 제4호, pp.211-226
초록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AUDIT-K의 요인구조 및 성별과 연령대 집단별 측정불변성, 종단적 측정불변성에 대한 검증을 통해 척도의 타당성과 활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RMSEAD를 활용하여 기존의 내포 모형의 비교 방식과 어떠한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4차년도 자료를 기준으로 16차년도 자료까지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UDIT-K는 2요인 및 3요인 구조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및 연령대 집단의 측정불변성은 약한불변성(Weak) 모형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년 간격의 5년간 종단적 측정불변성은 엄격한불변성(Strict) 모형까지 유지되었고, 4년 간격의 13년간의 종단적 측정불변성은 강한불변성(Strong) 모형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포 모형 비교를 위한 △RMSEA와 RMSEAD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을 때, 일부 모형의 비교에서 결과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여 내포 모형 비교 기준의 적용에 있어 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를 제시하였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3.43.4.211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