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돌봄서비스의 사회적 가치 측정 방안: 사회적투자수익률 분석 사례 = A Study on Measuring the Social Value of Eldercar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고숙자
dc.date.accessioned2023-08-22T00:23:58Z
dc.date.available2023-08-22T00:23:58Z
dc.date.issued2023-08-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3366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3.08.6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사회복지 지출도 증가하고 있다. 선제적 사회투자와 평가를 통하여 사회정책의 효과성을 논의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있다. 그러나 보건복지 영역의 공공서비스에는 사회투자의 가치를 측정하는 방식이 부재하여 공공재 또는 공공서비스의 가치가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재정지출 효율화와 공공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양립시키는 구조를 만들기 위한 정책 평가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사회정책의 투자 효과 분석을 위해 파일럿 스터디(pilot study)의 일환으로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데 가장 많이 활용되는 사회적투자수익률(SROI: Social Return on Investment)의 모형을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사례로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 맞춤돌봄서비스의 사회적투자수익률은 1,621:1로, 투자 대비 사회적 가치가 높은 사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abstractKorea’s social welfare spending is growing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Now is a critical time to evaluate the effect of social policies as proactive social investments. As Korea has until now lacked ways to measure the value of social investment in public services in the fields of health and welfare, the value of public goods or public services has tended to be underestim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olicy evaluation method with a view to achieving both higher efficiency in public expenditures and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As a pilot attempt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policy investments, this study used the social return on investment, the model most often used in social value measurement, as a method to evaluate the effect of personalized eldercare services. Our analysis found personalized elder care services to have a high social value for investment, with a SROI ratio of 1.62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노인돌봄서비스의 사회적 가치 측정 방안: 사회적투자수익률 분석 사례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Measuring the Social Value of Eldercare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사회적 가치
dc.subject.keyword사회투자수익률
dc.subject.keyword사회서비스
dc.subject.keywordSocial Value
dc.subject.keywordSocial Return on Investment
dc.subject.keywordSocial Servic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Sukja
dc.identifier.doi10.23062/2023.08.6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3
dc.citation.volume322
dc.citation.number8
dc.citation.date2023-08-01
dc.citation.startPage69
dc.citation.endPage8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3년 8월 통권 제322호, pp.69-8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3.8 No.322, pp.69-81
dc.date.dateaccepted2023-08-22T00:23:58Z
dc.date.datesubmitted2023-08-22T00:23:58Z
dc.subject.kihasa사회보장 통계
dc.subject.kihasa사회서비스 일반
dc.description.section정책분석과 동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