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존엄한 삶 마무리 지원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 Monitoring and Tasks of the Policies for the End of Life with Digni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경래
dc.contributor.author정찬우
dc.contributor.author최경덕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6-20T05:33:01Z
dc.date.available2023-06-20T05:33:01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922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7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제4차 저출산 고령사회기본계획’에 근거해 존엄한 삶 마무리를 위한 관련 법·제도와 정책 추진 상황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점검하여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국가 전략을 내실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웰다잉 정책 모니터링을 통해 드러난 정책과제로는 웰다잉 정책 과정 전반에 대한 더 꼼꼼하고 촘촘한 계획, 실행, 점검의 필요성, 사업 대상의 명확화, 홍보교육에 대한 정책적 관심 제고 및 내실화, 웰다잉을 실현하기 어려운 사람들에 대한 특화된 관심 등을 제시하였다. 한편, 광의의 웰다잉 정책상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과제로는 웰다잉 정책 범위 확장의 필요성, 대형 재난, 재해로 인한 사망자 급증 시에 필요한 대응능력 강화, 농산어촌의 인프라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 상장례문화 연구에 대한 정책적 관심, 웰다잉을 구현하기 위해 국가와 사회가 전면에 나서야 함 등으로 정리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end of life with dignity, or well-dying, is often referred to as a “good death,” “dignified death,” or “well-ending,” and is defined as a death that allows for self-determination at the end of life without placing a burden on family members. The monitoring in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9 policy tasks presented in the 4th basic plans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and the annual implementation schedules, which are the policy tasks first appeared in the 4th basic plans. Policy monitoring was attempted by applying a monitoring framework with appropriateness of policy design, policy operation, and target groups, but faced difficulties in analysis as many policy projects were still in the stage of fact-finding, research contract, direction setting, and program development. This study can be said to consist of three parts. By examining the well-dying policies in general, the first part was set of the basic direction of monitoring. Reviews were made on the concept and process of policy monitoring, basic perspectives, position in the growth cycle specialized for well-dying policies, and policy project model setting. And a monitoring framework was presented based on the appropriateness of policy design, of policy operation, and of target groups. In the second part, monitoring of the well-dying policies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over three chapters. It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hospice/palliative care/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upport policy, the end-of-life care support policy, and the end-of-life self-determination strengthening support policy. In the third part, the policy of well-dying in a broad sense was examined. From a life-cycle perspective, the well-dying policies in the 4th basic plans are too narrow because it deals only with the end-of-life period, which should be expanded and looked into in scope to cover both before and after in order to truly implement well-dy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웰다잉 정책과 모니터링 기본방향 13 제1절 웰다잉 담론 15 제2절 웰다잉 정책 개요 18 제3절 웰다잉 정책 모니터링 기본방향 21 제3장 호스피스·완화의료·연명의료결정 지원 정책 29 제1절 호스피스 서비스 접근성 확대 및 질 향상 31 제2절 일반완화의료 단계적 도입 및 완화의료 체계 개편 37 제3절 연명의료결정제도 정착 및 활성화 41 제4절 소결 46 제4장 생애말기 돌봄 지원 정책 51 제1절 생애말기 돌봄 추진 및 지원체계 마련 53 제2절 스스로 인생을 정리하는 사회문화 조성 58 제3절 생명존중, 죽음교육 생애주기별 시행 모색 64 제4절 소결 69 제5장 생애말기 자기결정권 강화 지원 정책 75 제1절 생애말기 자기결정권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 정비 77 제2절 성년후견제도 활성화를 통한 의사결정 지원 83 제3절 웰다잉 사회문화적 기반 조성 추진 86 제4절 소결 89 제6장 광의의 웰다잉 정책 점검 93 제1절 광의의 웰다잉 정책 95 제2절 광의의 웰다잉 법제도 변천 과정 101 제7장 결론 113 제1절 종합 115 제2절 정책적 함의 및 과제 118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과제 129 참고문헌 131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14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존엄한 삶 마무리 지원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dc.title.alternativeMonitoring and Tasks of the Policies for the End of Life with Dignit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웰다잉(well-dying)
dc.subject.keyword저출산 고령사회기본계획
dc.subject.keyword정책성숙도
dc.subject.keyword광의, 정책과제
dc.subject.keywordwell-dying, dignity
dc.subject.keywordpolicy monitoring
dc.subject.keywordlife-cycl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yeongr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Chanwo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Kyong Duk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58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5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58
dc.citation.date2022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6-20T05:33:01Z
dc.date.datesubmitted2023-06-20T05:33:01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5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41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2-001-01-05]존엄한 삶 마무리 지원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dc.subject.kihasa인구변화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