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성별 연금격차의 국가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Gender Pension Gap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다미
dc.contributor.author한겨레
dc.contributor.author남재욱
dc.contributor.author정해식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4-26T01:03:47Z
dc.date.available2023-04-26T01:03:47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902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481
dc.description.abstract성별 연금격차(gender pension gap)는 각국의 연금제도 설계 외에도 기여가 이루어지는 당시 노동시장 환경, 규범 등 다양한 외부적 요인이 연금제도와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은 왜 남성보다 노후소득보장에 있어서 불리한가?’라는 의문에 기초하여 노동시장을 비롯한 주변 제도와 연결하여 서구 13개국의 성별 연금격차의 원인과 발생 경로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젠더 관점의 복지국가와 여성 연금 수급권의 형태, 성별 연금격차의 개념과 측정, 주요 발생원인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 연금제도와 노동시장 요인들이 각각 성별 연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결합시계열 분석(Pooled Time Series Cross-section Analysis)을 통해 실증하였다. 4장에서는 시간 흐름에 따른 각국 연금체계의 변화 방향과 변화 정도를 퍼지셋 이념형 분석(Fuzzy-set Ideal Type Analysis)을 통해 도출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3장에서 확인된 영향요인과 4장에서 도출된 연금체계의 유형 변화를 바탕으로, 연금체계와 주변 제도들이 결합하여 성별 연금격차에서 나타낸 성과와, 성과 창출의 경로들을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을 통해 파악하였다. 이상의 분석 내용들을 바탕으로, 여성의 노동시장 활성화 및 지위 안정성이 확보된 노동시장과 재분배 기능에 충실한 공적연금의 결합은 성별 연금격차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경로임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Based on the question, “Why are women worse off than men in the retirement income security?”, this study explores the causes and pathways of the gender pension gap in 13 Western countries in relation to the labour market and other surrounding institu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gender pension gap cannot be prevented by pension systems alone, and that their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how they are combined with labour market structures. Differences in women’s labour market participation and status stability across the countries are reflected in different degrees of alignment between labour markets and pension systems. The unchecked growth of poorly managed women’s part-time work is not only limited to occupational pensions, but has also contributed to high levels of gender pension gaps in the countries where public pensions are dominated strongly by earnings-related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the 1.5-person breadwinner model, which includes women in the form of part-time work, is likely to widen the gap, at least in terms of old-age income stat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ffects of increasing women’s labour market participation and expanding part-time work on the gender pension gap are not always consistent, but have particular implications for Korea, which has seen a reckless quantitative expansion of women’s part-time work. The combination of women’s labour market participation, a stable labour market, and a highly distributive public pension system may be the most effective path to preventing the gender pension gap in our society as it moves on to a more robust multi-pillar syste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구성 16 제2장 이론적 논의 19 제1절 젠더 관점에서의 복지국가와 여성 연금 수급권 21 제2절 성별 연금격차의 개념과 측정 30 제3절 성별 연금격차의 발생 원인 33 제3장 성별 연금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 차원의 요인 분석 41 제1절 분석 개요 43 제2절 분석모형 및 분석방법 45 제3절 결합시계열 분석 결과 57 제4절 소결 64 제4장 국가별 연금체계의 유형 변화 분석 67 제1절 분석 개요 69 제2절 분석모형 및 분석방법 72 제3절 조건의 정의: 계측(calibration) 76 제4절 퍼지셋 이념형 분석 결과 83 제5절 소결 97 제5장 성별 연금격차 관련 제도 성과 분석 101 제1절 분석 개요 103 제2절 조건의 정의: 계측(calibration) 107 제3절 성별 연금격차의 결합 인과관계 분석 결과 117 제4절 소결 132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37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39 제2절 정책 제언 145 참고문헌 149 부록 161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18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성별 연금격차의 국가비교 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Gender Pension Gap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성별 연금격차
dc.subject.keyword연금제도
dc.subject.keyword여성 노동시장
dc.subject.keyword결합시계열 분석
dc.subject.keyword퍼지셋 이념형 분석
dc.subject.keyword퍼지셋 질적 비교분석
dc.subject.keywordgender pension gap
dc.subject.keywordpension system
dc.subject.keywordwomen’s labour market
dc.subject.keywordpooled time series cross-section analysis
dc.subject.keywordfuzzy-set Ideal type analysis
dc.subject.keyword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Fs/QC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Dah 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Gyeor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hm, Jaewoo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Hae-sik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38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3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38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4-26T01:03:47Z
dc.date.datesubmitted2023-04-26T01:03:47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7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14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2-012-00]성별 연금격차의 국가비교 연구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