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45~64세 집단의 사회적 불안 = The Social Insecurity Percept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ontributor.author곽윤경
dc.contributor.author이아영
dc.contributor.author변금선
dc.contributor.author전지현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3-31T08:59:17Z
dc.date.available2023-03-31T08:59:17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906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346
dc.description.abstract사회적 불안은 단순히 개인의 경험이나 문제로 치환되기 어려운 사회적 현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사회적 불안 인식을 초래하는 요인들이 다분히 사회경제적인 것이고, 사회적 불안 인식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고조될 때 사회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의 4차 연도 연구로, 만 45~64세 집단을 대상으로 사회적 불안 인식의 수준과 요인을 규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만 45~64세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크게 네 가지 주제로 구성되었다. 첫째, 사회적 불안을 구성하는 영역을 구분하고, 인구사회학적∙경제적 요인별 불안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둘째, 인지한 사회적 불안과 개인의 불안의 관계에 대하여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사회적 불안과 개인 불안에 대한 잠재적 집단 분석과 함께 개인 불안에 대한 사회적 불안 관련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셋째, 사회경제적인 특성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후기 중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노후준비, 돌봄 부담, 건강 특성 등을 주된 요인으로 포괄하였다. 넷째, 사회적 불안의 대처기제를 초점으로, 사회적 불안 수준에 따른 대처기제, 사회적 불안에 대한 대처기제의 영향, 그리고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후기 중년의 사회적 불안인식을 줄이기 위한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contents and related factors of social insecurity perception. As the fourth year research of five-year studies on “Korea’s Social Insecurity Percep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aged 45 to 64 and quantitative analyses with the data.The questions were highly reliable to measure the social insecurity perception, areas of social insecurity perception are ‘unfairness and distrust of the government’, ‘competition’, and ‘social incident/acciden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insecurity is, the more likely it is to be perceived of a negative impact on social development As a result of a combination analysis of individual psychological anxiety and social insecurity perceptions, it was found that a person with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anxiety is less likely to be a stable group in the perceived social insecurity. But a high level of social insecurity perception is relatively combined with high level of psychological anxiety. Social insecurity perception are influenced by high level of burden of caring and preparing for retirement,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economic difficulties. As the coping mechanisms,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are effective on the social insecurity perception.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e group aged 45-64 has a higher rate of using professional services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In closing,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are summarized and research planning for fifth year study are introduc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9 제2절 연구의 구성과 주요 내용 12 제3절 연구의 방법과 기대효과 15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와 조사의 설계 19 제1절 선행연구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1 제2절 조사표의 개발과 조사의 개요 43 제3장 사회적 불안에 대한 기초분석 59 제1절 응답자의 특성 61 제2절 사회적 불안 인식 측정의 신뢰도와 영역 구분 63 제3절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적 불안의 수준 67 제4절 사회적 불안과 사회적 영향 인식 77 제4장 개인 심리·불안과 사회적 불안 85 제1절 분석 목적과 방법 87 제2절 개인 심리·불안과 사회적 불안 분석 결과 101 제3절 소결 121 제5장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사회적 불안 격차 125 제1절 세대 특성과 사회적 불안 127 제2절 분석방법 132 제3절 사회적 불안의 격차 134 제4절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애 경험의 누적 효과 155 제5절 소결 167 제6장 사회적 불안과 대처기제 169 제1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171 제2절 대처방식별 불안 비교 176 제3절 사회참여 및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불안 181 제4절 사회적 불안에 대한 사회관계의 영향 분석 188 제5절 소결 207 제7장 결론 211 제1절 주요 결과와 시사점 213 제2절 정책 과제 220 참고문헌 233 부록 243 [부록 1] 면담 가이드 243 [부록 2]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 설문지 247 [부록 3] 문항 16번, 24번 제거 시 신뢰도 분석 결과 261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7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45~64세 집단의 사회적 불안
dc.title.alternativeThe Social Insecurity Percept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i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적 불안 인식
dc.subject.keyword후기 중년
dc.subject.keyword불안
dc.subject.keyword사회정책
dc.subject.keywordsocial Insecurity perception
dc.subject.keywordmiddle age
dc.subject.keywordanxiety
dc.subject.keywordsocial polic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yonjo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ak, YoonKy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A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yun, Geums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 Jihyu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42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42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42
dc.citation.date2022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3-31T08:59:17Z
dc.date.datesubmitted2023-03-31T08:59:17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57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2-003-00]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45-64세 집단의 사회적 불안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