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이주민의 사회서비스 보장에 대한 연구 - 해외 주요국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Social Services for Migrants - Focused on International Cas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유휘
dc.contributor.author이정은
dc.contributor.author신영규
dc.contributor.author임덕영
dc.contributor.author김경환
dc.contributor.author이지은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3-30T04:48:12Z
dc.date.available2023-03-30T04:48:12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895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33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주요국의 이주민 사회서비스 보장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국, 독일, 스웨덴, 일본의 돌봄과 주거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의 이주민 수급에 대한 제도적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이주민 사회서비스 보장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독일과 스웨덴은 대부분의 사회서비스 정책에서 국내에 거주하는 적법한 체류허가를 가진 외국인을 포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제도상 다수의 돌봄 및 주거서비스에서 외국인이 내국인과 동일하게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어 장기체류 외국인은 수급 가능한 사회서비스가 다수 있다. 한편, 영국의 경우 이민정책 상의 외국인 사회보장급여 제한 조건이 작용하여 다수의 사회서비스 수급이 외국인에게 제한적이었으며, 지방정부 차원에서 부가적으로 이주민 대상 사회보장 개선을 노력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외국인 정책의 관점 전환이 필요하며, 적어도 정주형 외국인에 대해서는 사회보장 개선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영주권자를 포함하여 지역사회 정주 외국인에 대한 사회서비스 보장 개선 방안과, 지방정부 차원에서 “주민”에 포괄되는 지역 내 이주민에 대한 사회보장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Number of foreigners increases who are entering Korea for various reasons and staying for a long time, including Korean Chinese,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And social services for immigrants should be guaranteed for several reasons. The first issue is that immigrants need for social right in Korean society, so that their entitlement to social services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basic rights. Secondly, when immigration policy is changing, it is important to discuss whether the entitlement to social services is necessary to ensure immigrants' social integration. Thirdly, it is necessary to discuss social security for immigrants wh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in their communities and pay tax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current status of immigrants’ entitlement to social services in major foreign countries and derives implications for Korean social security policy. The first step i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service systems in major foreign countr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immigrants’ entitlement. The second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immigrants’ entitlement to social services based on the social policies and immigration policies. The third asp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overseas cases. Accordingly, this study has examined social security systems for child care, elderly care, care for the disabled, and housing (housing assistance and social housing) in UK, Germany, Sweden, and Japan. Also the current status of immigrants' security in Korea has been examined based on the system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comparison to Germany, Sweden, and Japan, UK offers relatively limited foreigner protection in the social services. German and Swedish governments guarantee social services to immigrants with valid residence permits,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and type of residence permit. Foreigners with residence permits in the countries are covered by social security services if they are "residing" there. However, more restrictive requirements are demanded for German child care allowances when it comes to residence permits. Next, in Japan, foreigners can apply for care and social housing in the same way as the nationals. UK, however, classifies many care and housing services as public funding, so foreigners subject to the NRPF (No Recourse to Public Funds) are not able to access to them, excluding the recognized refugees. UK's central government applies limited standards to social services for immigrants. However, local governments can provide limited social services to NRPF immigrants at their discretion. Moreover, overseas countries are improving accessibility for migrants to the social services to allow their entitlements mentioned above. In Korea, excluding marriage migrants and recognized refugees, most immigrants have difficulty in receiving the public social services. In areas with a high proportion of immigrants, local governments, however, provide social services to immigrants through their own businesses or services. Social rights of immigrants must be guaranteed as universal human rights, in terms of the movement of "people" rather than the influx of short-term labor. Future immigrants would need better social security, and immigration policy should be gradually improved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s for foreigners with possibility of permanent residency, and for long-term residents. Changes in immigration policy may require revisions of related laws or guidelines for social services. It is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to expand social services for immigrants and to improve their access to the services since foreigners are likely to be included as "residents" of local govern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5 제1장 서 론 3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4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8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국내 제도 현황 53 제1절 이주민의 사회보장 수급 55 제2절 국내 제도 현황 및 선행연구 67 제3절 연구범위 및 분석틀 79 제3장 영국 이주민에 대한 사회서비스 보장 분석 87 제1절 개관 89 제2절 이주민 보장의 제도적 현황 분석 92 제3절 지방정부 단위의 정책 사례 분석 105 제4절 소결 128 제4장 독일 이주민에 대한 사회서비스 보장 분석 133 제1절 개관 135 제2절 이주민 보장의 제도적 현황 분석 137 제3절 지방정부 단위의 정책 사례 분석 157 제4절 소결 165 제5장 스웨덴 이주민에 대한 사회서비스 보장 분석 171 제1절 개관 173 제2절 이주민 보장의 제도적 현황 분석 177 제3절 지방정부 단위의 정책 사례 분석 195 제4절 소결 200 제6장 일본 이주민에 대한 사회서비스 보장 분석 203 제1절 개관 205 제2절 이주민 보장의 제도적 현황 분석 212 제3절 지방정부 단위의 정책 사례 분석 234 제4절 소결 248 제7장 해외국가 이주민 사회서비스 보장의 특징 257 제1절 개관 259 제2절 해외국가 이주민 사회서비스 보장의 제도 현황 265 제3절 해외국가 이주민 사회서비스 보장의 특징 277 제8장 국내 이주민 사회서비스 보장 현황 281 제1절 돌봄 및 주거 서비스의 이주민 보장 현황 283 제2절 지방자치단체 돌봄 및 주거 서비스의 이주민 보장 현황 308 제9장 결론 : 국내 이주민 사회서비스 보장을 위한 정책 제언 335 제1절 분석결과 요약 및 함의 337 제2절 국내 이주민 사회서비스 보장의 개선방안 340 참고문헌 353 부 록 383 부록 1 일본 입관법에 따른 재류자격 상세 내용 383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이주민의 사회서비스 보장에 대한 연구 - 해외 주요국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Research on the Social Services for Migrants - Focused on International Cas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서비스
dc.subject.keyword이주민
dc.subject.keyword사회서비스 수급권
dc.subject.keyword이주민 사회권
dc.subject.keyword해외사례
dc.subject.keywordsocial service
dc.subject.keywordimmigrants
dc.subject.keywordentitlement to social services
dc.subject.keywordsocial right for immigrants
dc.subject.keywordanalysis of overseas case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Yuhw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ung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Young-Ky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im, Deok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yunghw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ieu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31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3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31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3-30T04:48:12Z
dc.date.datesubmitted2023-03-30T04:48:12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18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2-016-00]이주민의 사회서비스 보장에 대한 연구-해외 주요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dc.subject.kihasa사회서비스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