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인용 연결망 분석을 통한 현행 보건복지 분야 법률의 구조에 대한 연구: 정책별 주요 법률 및 코로나19 대응입법의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 = Leading Policy Acts Detection and COVID-19 Countermeasure Legislation’s Impact Evaluation: Legal Code Citation Network Analysis on the Health and Welfare Policies

제목
인용 연결망 분석을 통한 현행 보건복지 분야 법률의 구조에 대한 연구: 정책별 주요 법률 및 코로나19 대응입법의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 = Leading Policy Acts Detection and COVID-19 Countermeasure Legislation’s Impact Evaluation: Legal Code Citation Network Analysis on the Health and Welfare Policies
저자

김익두 ; 안은성

저자(타언어)
Kim, Ikdu ; An, Eunseong
키워드
연결망 분석 ; 페이지랭크 ; 루뱅 방법론 ; 코로나19 대응입법 ; 보건복지
발행연도
2022-09-3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2권 제3호, pp.320-332
초록
본 연구는 법률 간 인용 연결망 분석을 통해 보건복지부 등의 정책 분야별 주요 법률을 확인하고, 정책적 중요성에 비해 중심성이 낮은 법률 등에 대한 개정 방향을 제시하며, 코로나19 대응입법으로 인한 구조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먼저, 중심성 개념 중 페이지랭크는 개별 법률이 체계 내에서 가지는 명성이나 중요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분석 결과 해당 순위가 높은 법률들은 보건복지 정책의 각 분야를 고르게 반영하고 있음과 동시에 부서의 주된 소관 업무와 상당 부분 일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각 노드의 모듈도 최적화를 통한 커뮤니티 식별 기법인 루뱅 방법론을 통하여 도출된 5개 집단은 각각 복지, 의료, 보건, 식품ㆍ의약품, 고령사회 관련 정책을 다루는 법률의 집단으로 비교적 잘 식별되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가 제시한 방법론의 유용성을 실증한 것으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대응입법으로 인한 연결 정도 중심성 및 고유벡터 중심성 순위는 현저하게 변화되었으나 페이지랭크 지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바, 코로나19 대응입법의 전체 구조에 대한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추론된다. 향후 각 중심성 지표가 가지는 의미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종단연구 등 일부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법률의 긴급한 제정 등 법체계에 일정한 충격을 주는 사건이 전체 법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추가 논의도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