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노인의 사회적 불안 = A study of social unrest in South Korea: focusing on elderly people

제목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노인의 사회적 불안 = A study of social unrest in South Korea: focusing on elderly people
저자

곽윤경(Kwak, YoonKyung) ; 전지현 ; 황남희(Hwang, Namhui) ; 김세진(Kim, Sejin) ; 이현주(Lee, Hyonjoo)

저자(타언어)
Kwak, YoonKyung ; Kim, Sejin ; Hwang, Namhui ; Jun, Jihyun ; Lee, Hyonjoo
키워드
노인 ; 65~74세 ; 사회적 불안 ; 사회정책 ; 노인정책 ; 정신건강
발행연도
202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3차 연도 연구로, 노인(65~74세)에 초점으로 두었다. 이에 따라, 노인의 사회적 불안을 수준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그리고 대처기제를 포괄하여 살펴보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65~74세 약 1,000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조사표에는 사회적 불안을 측정하는 다양한 문항과 개인불안을 측정하는 문항, 대처기제, 개인 및 사회적 사건 경험, 응답자 스스로에 대한 인식, 사회적 관계 등을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첫째, 노인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 실시, 둘째, 사회적 불안이 높은 은퇴자 혹은 은퇴예정자의 노후준비 지원, 셋째, 사회관계망 강화를 통한 사회적 불안 감소, 넷째, 정보화기기 활용의 역기능적 측면을 예방 및 해소, 다섯째, 보편적인 관점에서 노인 관련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마지막으로, 집단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설계 및 패러다임 재구조화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social unrest amongst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and to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The study uses the same index on social unrest from the data set used to examine social unrest in young people in 2020. The questionnaire for collecting these data had age-specific adjustments.
A survey was carried out open to those aged 65 to 74 across the nation; 1,000 individuals responded. The factor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elements of the social unrest, and following elements were discerned: a) adaptation/ safety, b) injustice/competition, c) distrust/hopelessness, d) inequality. In addition, individual levels of social unrest, social unrest in terms of aging, perception of social unrest were used, as other elements of social unrest.
Chapter 3 covers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levels of and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unre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apter 4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social unrest and income, along with the more general indicator of wealth. When it comes to the ‘adaptation/safety’ element of social unrest, the levels were higher in the first income quintile than those in the fourth quintile. Chapter 5 examines the way participants respond to a sense of fear and insecurity and identifies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unrest. The final chapter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e earlier chapters and draws the policy implications.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9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9

제2장 조사 개요 35
제1절 조사 개요 및 내용 37
제2절 사회적 불안의 측정과 구성 46
제3절 응답자 특성 53

제3장 노인의 사회적 불안 수준 57
제1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59
제2절 노인의 사회적 불안 64
제3절 소결 85

제4장 노인의 소득과 사회적 불안 87
제1절 분석내용과 분석방법 89
제2절 소득분위별 사회적 불안의 수준과 내용 비교 99
제3절 사회적 불안에 대한 소득의 영향 분석 104
제4절 소결 109

제5장 노인의 사회참여와 사회불안 113
제1절 논의 배경 115
제2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118
제3절 사회참여 특성과 불안 122
제4절 대처방식별 불안 비교 140
제5절 사회참여가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분석 147
제6절 소결 161

제6장 결론 165
제1절 종합적 분석 167
제2절 연구 결과 요약 174
제3절 정책적 함의 및 제언 177

참고문헌 187
부록: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 설문지 197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1-28
ISBN
978-89-6827-825-9
DOI
10.23060/kihasa.a.2021.28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