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호대상아동 발생경로와 원가정 지원방안 연구 = Child Protective System and Family Preservation for Children in Need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류정희
dc.contributor.author이상정
dc.contributor.author이주연
dc.contributor.author권지성
dc.contributor.author김진석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overage.temporal2021-05-14 - 2021-12-31
dc.date.accessioned2022-03-31T04:39:38Z
dc.date.available2022-03-31T04:39:38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isbn978-89-6827-836-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9860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의 아동보호체계는 최근 공공화되어 왔으나 아동보호의 절차와 단계에서는 여전히 원칙과 현실관행 사이에 큰 틈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호대상아동의 발생경로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보호대상아동의 개념, 통계정보, 보호대상아동의 발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위기·취약가구 대상 정책과 사업 등의 현황을 검토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연구결과 보호대상아동의 개념은 모호하였으며, 통계정보는 원인분류가 중복적이며 집합적으로 관리되는 한계가 드러났다. 또한 정부의 위기·취약가구 대상 사업들은 공급자 중심적이며 중점대상자 별로 지원규모를 제한하거나 신청주의로 운영하고 있어, 보호대상아동의 발생 예방에 실효성이 낮았다. 보호대상아동의 발생 원인에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원가정 부모의 문제가 얽혀 있으며, 부모의 양육의지가 양육능력보다 더 중요한 분리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발생원인에 따라 상이한 절차로 보호절차가 진행되기도 하며, 아동보호전담요원의 고용 상 지위, 역할분담과 업무연계의 문제, 연령, 성별 및 욕구 등에 맞는 아동보호시설의 부족 문제, 아동보호서비스 관련 체계의 유기적 연계와 정보공유의 필요성 등이 지적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대상아동의 발생을 예방하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법, 정책 그리고 서비스 관련 대안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and Purpose: The 「Children in Inclusive Nation Policy」, which was launched in Korea in May 2019, is enforcement of the entire process from screening, decision making, case management, and reunification to the original home for all children in need from abuse, poverty, abandonment, etc.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It aims to fundamentally reorganize the public protection system so that accordingly, the deployment of child abuse officers and child protection officers in across the country, which began in October 2020, were completed at the end of 202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es of children who are at risk of out-of-home care and the pathways in which children in need are separated from their original families. Methods: The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current state of government projects and related materials, such as support systems, programs, and manuals for fragile children and families. Also, the study analyzed in-depth interviews on child separation experiences which were conducted with parents of children looked after and Child Abuse Prevention Officials, Child Protection agents and workers in the child protective system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pts of ‘children in need’ and ‘children looked after(out of home care)’ was ambiguous, and the statistical information had overlapping causes and limitations in collective management. Also,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has been supplier-oriented and ad-hoc response to incidents rather than prevention. The results from the in-depth interviews suggest that causes of the occurrence of children looked after(out of home care) are intertwined with the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of the parents and original families. In particular, the parental will to raise them was identified as the more important cause of separation than the ability to raise them.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laws, policies, and service-related alternatives were proposed to prevent and support the occurrence of children subject to protection. The findings from the study confirmed that child protection procedures were carried out in different procedures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occurrence. Thu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child protection agents should be reinforced and child protection facilities suitable for age, gender and special needs should be expan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내용 23 제3절 연구방법 26 제2장 보호대상아동 발생 현황과 문제점 31 제1절 보호대상아동의 정의와 범주 33 제2절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동’의 현황 39 제3절 소결 52 제3장 보호대상아동 발생경로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55 제1절 선행연구에서 드러난 보호아동의 발생경로 57 제2절 보호아동 발생경로에 대한 공공매뉴얼 검토 63 제3절 소결 72 제4장 보호대상아동 발생 통계현황과 문제점 75 제1절 보호대상아동 통계작성 현황과 문제점 78 제2절 통계작성 실무자 대상 심층면접 분석 85 제3절 국외 보호대상아동 통계생산 및 관리 현황 91 제4절 소결 100 제5장 원가정 보호와 강화: 원칙과 현실의 간극 103 제1절 보호아동발생 예방체계와 원가정 지원정책 현황 105 제2절 독일의 원가정 지원정책과 보호아동 발생 예방체계 134 제3절 소결 140 제6장 보호대상아동 발생경로에 대한 질적 연구 145 제1절 서론 147 제2절 연구방법 148 제3절 연구결과 151 제4절 소결 274 제7장 결론 277 참고문헌 299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31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보호대상아동 발생경로와 원가정 지원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Child Protective System and Family Preservation for Children in Need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보호대상아동
dc.subject.keyword보호아동
dc.subject.keyword아동보호체계
dc.subject.keyword원가정 지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Ryu, Jeong-h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ang J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uye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on, Ji S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nseo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yun Joo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1.38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1-3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1-38
dc.citation.date2021
dc.citation.date2021
dc.date.dateaccepted2022-03-31T04:39:38Z
dc.date.datesubmitted2022-03-31T04:39:38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100116_1_1
dc.subject.research사회서비스정책연구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1-008-00]보호대상아동의 발생경로와 원가정지원방안 연구
dc.subject.kihasa아동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