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 노인의 삶과 인식 변화: 노인실태조사 심층분석 = Changes in the lives and perceptions of the elderly in Korea: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제목
한국 노인의 삶과 인식 변화: 노인실태조사 심층분석 = Changes in the lives and perceptions of the elderly in Korea: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저자

김세진(Kim, Sejin) ; 이선희(Lee, Sun Hee) ; 남궁은하 ; 이윤경(Lee, Yunkyung) ; 백혜연 ; 신혜리 ; 이상우

저자(타언어)
Kim, Sejin ; Lee, Sun Hee ; Namkung, Eun Ha ; Lee, Yunkyung ; Baek, Hyeyoun ; Shin, Hye-Ri ; Lee, Sang-woo
키워드
노인의 삶 ; 인식 ; 다양성 ; 변화 ; 노인실태조사
발행연도
202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노인 집단 내부의 이질성, 다양성에 대한 학문적, 정책적 관심에 입각하여 2004년 이후 한국 노인의 삶의 변화를 전반적으로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노인의 삶에 기반이 되는 건강 및 기능상태, 사회적 관계망, 사회참여 및 경제상태를 중심으로 한 시계열적 양상과 그 기저에 위치한 가치관 변화에 주목하였다. 또한 노인의 삶과 직결되는 주요한 노인복지정책(서비스)을 중심으로 효과성 분석도 수행하였다.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향후 노인복지정책 수립시 노인의 변화된 특성 반영은 물론 노인 집단 내부의 다양성과 이질성에 기초하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아울러 노인을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구성원으로 간주하고 그에 따른 정책 수립이 가능하도록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며, 신규 노인 집단 진입에 대비하여 그들의 다각화된 욕구에 기인한 세분화된 정책 대상자 발굴 및 서비스 연계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overall changes in the elderly’s lives since 2004 in accordance with rapid changes in our society and increasing interest about heterogeneity and diversity within the elderly group. To investigate it, the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as utilized to analyze time-series changes in family and social relations, health status, functional status, social participation status, and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Moreover, future elderly welfare policies were suggested through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depth changes per major areas of liv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elderly welfare policies and elderly’s liv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status of the elderly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health status, etc.) has been positively changed over the past 15 years. Seco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life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whole life increased. Third, the difference within the elderly group increased, and the heterogeneity and diversity within the group extended. Fourth, in terms of changes in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and their lives, the resul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licy’s nature and the user’s characteristics. Based on a series of the analysis results, future welfare policy establishment for the elderly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s well as the diversity and heterogeneity within the elderly group. In addition, in preparation for the entry of new elderly groups, including baby boomers, it is necessary to find detailed policy targets and link services due to their diversified need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한국 사회와 노인의 삶의 변화 19
제1절 한국 사회와 출생시기별 노인의 삶 21
제2절 노인의 일반적 특성 변화 31
제3절 노인의 인식 변화 41
제4절 소결 52

제3장 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망 변화 57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59
제2절 가족 및 사회적 관계망의 변화 63
제3절 사회적 관계망 유형 및 유형별 특성 변화 115
제4절 소결 136

제4장 노인의 건강상태 변화 141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143
제2절 노인의 건강상태 변화 양상 151
제3절 소결 186

제5장 노인의 기능상태 및 돌봄자원 변화 191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193
제2절 노인의 기능상태 및 돌봄자원 변화 198
제3절 돌봄자원 영향요인 분석 233
제4절 소결 244

제6장 노인의 사회참여 형태 변화 249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251
제2절 사회참여 형태의 변화 양상 256
제3절 현재의 사회참여 유형과 향후 희망 유형의 변화 289
제4절 사회참여 유형별 특성 300
제5절 소결 322

제7장 노인의 소득 변화 327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329
제2절 소득수준 변화 양상 334
제3절 소득불평등 분석 358
제4절 소결 374

제8장 노인복지정책의 발전과 노인의 삶과의 관계 379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381
제2절 건강 및 돌봄 정책 387
제3절 소득 및 경제활동 정책 400
제4절 사회참여 정책 417
제5절 소결 443

제9장 결론 447
제1절 연구결과 요약 449
제2절 시사점 457

참고문헌 471
부록 48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1-23
ISBN
978-89-6827-820-4
DOI
10.23060/kihasa.a.2021.23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