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농촌 독거노인의 스마트 홈 활용 경험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백옥미
dc.contributor.author홍석호
dc.contributor.author이미영
dc.contributor.author장은하
dc.date.accessioned2022-01-12T07:34:37Z
dc.date.available2022-01-12T07:34:37Z
dc.date.issued2021-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904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생생한 적응 경험을 탐색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 지원의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받은 초고령 지역의 독거노인 9명을 대상으로 2회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것을 비롯해, 이들의 스마트 홈 서비스의 보급 및 관리에 관련된 핵심 정보 제공자 11명을 대상으로 별도로 2회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84개의 개념, 39개의 하위범주, 1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기계적응 스트레스>와 <사회복지 실천의 확대>이며,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은 <정보 취득> <안전 염려> <사회 동참>, 맥락적 조건은 <접근성> <경제성> <지원 및 관리>이며, 중심현상을 조절・대처하기 위한 행동/상호작용 전략은 <적응을 위한 고군분투> <이익을 체험> <도움 요청> <제도적 보완>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상황은 <노인 성향> <도움 줄 존재> <편리성>이었으며, 결과는 <더디지만 점차 익숙해지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들의 스마트 홈 경험의 핵심 범주는 “더디지만 ‘사람’의 도움으로 스마트 홈에 적응해가고 있음”으로 결정되었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노인 사용자 기반의 스마트 홈 기술의 개발과 효율적인 전달체계 수립을 위해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al adaptation experiences that rural older adults in using pilot smart home services. To this en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in highly-aged areas who received smart home services, a government-supported pilot project. Also, two separat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key information provide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their smart home services.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y Strauss & Corbin (1998)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Our analysis derived 84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6 super-categories. In the paradigmic dimension, the central phenomenon was <mechanical adaptation stress> and <expans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e causal condition of the central phenomenon was <information acquisition> <safety concern>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accessibility> <economic efficiency> <support and management>, and the behavior/interaction strategies for controlling and coping with the central phenomenon was <struggle for adaptation> <experience benefits> <request help>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The interventional situation was <elderly tendency> <presence of help> <convenience>, and the result was <slow but gradually getting used to it>. The core category of the smart home experien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determined to be “Slowly but adapting to the smart home with the help of ‘people’”. Based on the main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 technology based on elderly users and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농촌 독거노인의 스마트 홈 활용 경험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스마트 홈
dc.subject.keyword독거노인
dc.subject.keyword근거이론
dc.subject.keyword포커스 그룹 인터뷰
dc.subject.keywordSmart Home
dc.subject.keywordSenior Living Alone
dc.subject.keywordGrounded Theory
dc.subject.keywordFocus Group Interview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ik, Ok 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ong, Seokh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Mi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ang, Eunha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1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21-12-31
dc.citation.startPage108
dc.citation.endPage12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1권 제4호, pp.108-12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1 No.4, pp.108-127
dc.date.dateaccepted2022-01-12T07:34:37Z
dc.date.datesubmitted2022-01-12T07:34:37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