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Ⅷ) - 사회통합과 사회이동(2) = A Study on Assessment of Social Cohesion Status with Policy Implications(Ⅶ) - Social Cohesion and Social Mobility

제목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Ⅷ) - 사회통합과 사회이동(2) = A Study on Assessment of Social Cohesion Status with Policy Implications(Ⅶ) - Social Cohesion and Social Mobility
저자

김문길(Kim, Moon-kil) ; 우선희 ; 여유진정해식곽윤경 ; 홍성운

저자(타언어)
Kim, Moon-kil
키워드
사회통합 ; 사회이동성 ; 세대 ; 코호트
발행연도
202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학력과 교육의 세대 간 이동성에 있어서 출생 코호트별로 뚜렷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지만 주관적 계층의 세대 간 전승은 젊은 세대일수록 심화하는 경향이 발견된다. 모든 세대가 부와 소득 불평등 수준이 기회의 불평등 수준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 주거자산의 세대 간 이전은 주택점유형태의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파악되며, 주거점유형태와 자산이전 경험은 출생 코호트별로 사회이동성과 경험에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
· 코로나19로 촉발된 위기는 집단별로 상이한 영향을 보이고 있으며, 불안정성에 대한 인식은 주관적 소득계층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19로부터 경제적 충격이 큰 집단일수록 본인의 계층이동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 세대 내, 세대 간 사회이동 인식에 있어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상속·증여 경험은 세대 간 이동 가능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 5년 전에 비해 사회통합, 사회이동 인식의 연령집단별, 주관적 소득계층별 분화가 더욱 두드러졌으며, 사회이동성에 대해서 최근 청년층이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특징이 발견된다.

This study is the seventh study in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evaluation research series. This study focuses on social cohesion and social mobility. It started with the following background. First, recently, the importance of social mobility among the components of social integration is increasing. Secondly, ‘fairness’ has been highlighted as an issue related to social integration in our society, and this issue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mobil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social mobility and social cohesion in a situation where social anxiety due to COVID-19 is on the rise.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empirical evidence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has weakened in Korea, but we would like to prove how it appears in the most recent “Survey on Social Mobility and Social Integration”. In addition, we examine how the issue of inter-generational and intra-generational inequality in assets, which is spreading due to the rapid rise in real estate prices, is affecting social mobility in Korea. In additio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instability caused by COVID-19 on social mobility and social cohesion perception will be examined, and factors affecting social mobility perception will be investigated. Next, we will examine how social mobility and perceptions of social cohesion have changed, and how social mobility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late to other social integration-related items.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17
제3절 이론적 논의 27

제2장 세대 간 사회이동의 경험과 불공정 인식 33
제1절 문제 제기 35
제2절 분석 방법 36
제3절 세대 간 이동의 실재 41
제4절 출생 코호트별 사회이동과 공정성 인식의 차이 50
제5절 소결 56

제3장 세대 간 주거자산 이전과 사회이동 인식 61
제1절 문제 제기 63
제2절 분석 방법 65
제3절 주거자산 이전과 주택의 점유형태 68
제4절 점유형태 및 자산 이전과 사회이동성 인식 77
제5절 소결 89

제4장 사회적 불안정과 사회이동 인식 93
제1절 문제 제기 95
제2절 분석 방법 96
제3절 코로나19의 영향과 정책 선호 99
제4절 불안정성 인식과 정책 선호 107
제5절 불안정성 인식과 사회이동 인식 114
제6절 소결 119

제5장 사회이동 인식과 요인 121
제1절 문제 제기 123
제2절 분석 방법 127
제3절 연령별 사회이동성 인식 130
제4절 사회이동성 인식 결정 요인 136
제5절 소결 144

제6장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인식 변화 147
제1절 문제 제기 149
제2절 분석 방법 150
제3절 사회통합과 사회이동성 인식 변화 151
제4절 소결 165

제7장 결론 169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171
제2절 정책적 함의 173

참고문헌 177
부록 183
[부록 1]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Ⅱ) 설문지 183
[부록 2]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Ⅱ) 표본 설계 205
[부록 3]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Ⅱ) 기초분석표 214
[부록 4] 세계경제포럼 글로벌 사회이동인식 조사 292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0-55
ISBN
978-89-6827-777-1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