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 인구의 자살 이해력(suicide literacy) 평가 = Evaluation of Suicide Literacy Level among Rural Elderl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안순태
dc.contributor.author조정희
dc.contributor.author이하나
dc.date.accessioned2021-10-12T07:28:59Z
dc.date.available2021-10-12T07:28:59Z
dc.date.issued2021-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849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 노인들의 우울증 및 자살 징후에 대한 이해 수준을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북 김제시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은 세 가지 유형(정상, 우울증, 자살 징후)의 삽화 중 하나에 무작위로 노출된 후, 걱정 수준, 해주고 싶은 조언 등을 묻는 문항에 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농촌 노인들은 우울증 및 자살 징후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삽화에 묘사된 사람을 향한 걱정 수준에 있어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주관식 답변에서 상당수 발견된, ‘나이 탓이다’, ‘나와 비슷하다’ 등을 미루어볼 때, 오히려 삽화에 묘사된 증상을 공감하는 경우가 많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 참여한 노인들은 우울증이나 자살 위기 상황을 접했을 경우 어떠한 반응을 보여야 하는지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살 징후를 보인 사람에게는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해봐’라는 조언이 필수적이지만, 이러한 조언을 제시한 경우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 예방을 위한 개인의 지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지 논의하고, 농촌 노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 및 자살 예방대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depression and suicid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resented to 119 people over the age of 60 residing in Gimje, Jeollabuk-do.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types of vignettes (normal, depression symptom, suicidal signs), and then answered questions about their level of concern and coping advice they would like to recommend for the target. Firs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rural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uld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sign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level of concern toward the target depicted in the vignettes. Third, the study found that the participants were not aware of the correct response to depression or suicidal crisis. The coping advice of ‘call the suicide helpline’ is essential to those who have shown signs of suicide; however, it was established that not many cases provided such advice.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we explored social efforts needed to improve individual knowledge for suicide prevention and subsequently suggested direction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2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 인구의 자살 이해력(suicide literacy) 평가
dc.title.alternativeEvaluation of Suicide Literacy Level among Rural Elderly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노인 자살
dc.subject.keyword노인 우울증
dc.subject.keyword자살 이해력
dc.subject.keyword농촌 노인
dc.subject.keyword정신건강
dc.subject.keywordElderly Suicide
dc.subject.keywordElderly Depression
dc.subject.keywordSuicide Literacy
dc.subject.keywordMental Health Literacy
dc.subject.keywordRural Elderly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n, Soont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Jeongh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annah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1
dc.citation.number3
dc.citation.date2021-09-30
dc.citation.startPage55
dc.citation.endPage7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1권 제3호, pp.55-7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1 No.3, pp.55-74
dc.date.dateaccepted2021-10-12T07:28:59Z
dc.date.datesubmitted2021-10-12T07:28:59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