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 건강결정요인 분석: 지역사회 정책 및 사회자본 효과를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Health in Older Adults: Regional Policies and Social Capital

제목
노인 건강결정요인 분석: 지역사회 정책 및 사회자본 효과를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Health in Older Adults: Regional Policies and Social Capital
저자

남궁은하 ; 진화영 ; 이윤경(Lee, Yunkyung)

저자(타언어)
Namkung, Eun Ha ; Chin, HwaYoung ; Lee, Yunkyung
키워드
고령친화도시 ; 동네 효과 ; 건강결정요인 ; 지역사회 자원 ; 다층모형
발행연도
202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물리적, 사회적, 정책적 환경을 중심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결정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역사회 환경과 노인 건강의 관계가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분석 자료로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2018년 통계청 지역통계자료(시·군·구 수준) 및 국토정보지리원의 국토지표 등 개인과 지역사회 수준 자료를 동시에 사용하여 다층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와 달리, 지역 거주민의 거주지로부터 각종 의료 및 편의시설까지의 평균 도보거리에 관한 자료를 사용하여, 지역사회 자원의 양적 수준뿐 아니라 물리적 접근성이 노인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수준 지표 중 기초연금 수급자 비율, 읍·면부 거주 여부가 노인 개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 우울, 및 인지장애 경험확률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주관적 만족 및 지역 주민 간 신뢰와 지지 또한 고령자 건강과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공원, 의료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공공 체육시설까지의 평균 도보거리는 시·군·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시설 접근성이 고령자 개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70~80세 미만 노인과 교육·소득 수준이 낮은 노인의 경우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고령자의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주민 간 신뢰와 지지 같은 사회자본 조성을 고려한 지역 공간계획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연령, 교육 및 소득 관련 취약계층의 지역사회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eterminants of health in older adults aged 65 or older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community environment (physical, social, and policy environment). The study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 associations between community environment and health vary by individual socioeconomic status. Data are drawn from multiple sources including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gional Indicators, and Land Survey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community-level environment indicators and individual-level health outcomes. We use multilevel modeling to take into account the interdependence between individuals within each region(si-gun-gu). The analytic sample includes 66,949 adults aged 65 or older living in 250 si-gun-gu reg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walking distances to parks, health care facilities, senior centers, and public gym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regions. Levels of social capital (trust toward and support from other community residents)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ty environment also significantly differ across regions. Findings from the multilevel models suggest the positiv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ty environment on older individuals’ self-rated health,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disability. Also, the higher rates of basic pension recipients in the regions are associated with poorer self-rated health of individuals, and those who are residing in rural area report low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but show higher likelihoods of cognitive disabilities. Finally, the positive effects of the better access to health care and recreational facilities of the communities are more evident among older adults in 70s and those with lower levels of socioeconomic status compared to their respective counterparts.
Our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ty environment and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and support between community residents are important for the physical, mental, and cognitive health of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Thus, it is important to make the communities more aging-, health-friendly and develop community programs and places to encourage interactions and support between the residents. Given the greater effects of the access to the community resources among those with lower levels of socioeconomic status, special attention and policies are needed for such vulnerable groups of older adult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노인 건강과 결정요인 17
제1절 건강결정요인에 관한 개념틀 19
제2절 건강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25
제3절 소결 41
제3장 지역사회와 노인 건강 47
제1절 지역사회 환경과 노인 건강 50
제2절 사회자본과 노인 건강 64
제3절 소결 65
제4장 노인 건강결정요인 분석 69
제1절 연구 방법 71
제2절 지역별 노인 건강 비교 분석 94
제3절 노인 건강결정요인 100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123
제1절 연구 요약 125
제2절 노인 건강증진 및 지역사회 역할에 대한 정책 제언 132
참고문헌 137
부 록 157
부록 Ⅰ 250개 행정구역별 65세 이상 노인 지역사회 인식 157
부록 Ⅱ 250개 행정구역별 65세 이상 노인 건강 수준 166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수시) 2021-03
ISBN
978-89-6827-785-6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서비스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