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근로(능력)빈곤층에 대한 근로장려세제의 효과 분석 = A study about the effect of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on the working and the workable poor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박소은
dc.contributor.author안영
dc.contributor.author고제이
dc.coverage.temporal2021-02-01 - 2021-05-15
dc.date.accessioned2021-08-11T06:30:05Z
dc.date.available2021-08-11T06:30:05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isbn978-89-6827-789-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8152
dc.description.abstract근로장려세제는 2008년 도입된 이후 지속적으로 대상범위와 지급액이 확대되고 있다. 제도 도입 당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그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도 근로장려금의 신청․수급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로(능력)빈곤층, 특히 근로능력이 있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 대한 근로장려금의 노동공급 효과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전반적으로 근로장려금이 기초생활보장 수급 빈곤가구에 추가적인 근로유인을 제공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이는 기초생활보장 수급 빈곤가구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근로유인을 제공해야 할지에 대해 추가적인 고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In the initial phase, EITC was not applied to households having the benefits fro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NBLSS). Then, it has been available for them with NBLSS since 2015. Our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is change in EITC on the labor participation of the working and workable poor, considering that many of the NBLSS recipients live below the poverty line. Due to data availability, we roughly estimate the effect by focusing on two groups, one receiving only NBLSS and the other receiving both NBLSS and EITC. The results indicate that EITC could increase the labor participation of NBLSS recipients, but it seems to be limited to some NBLSS recipients who do not live in poverty. The results imply that we need to contemplate the more effective ways to help the poor pull themselves out of poverty through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근로(능력)빈곤층에 대한 주요 소득보장제도 개관 19 제1절 근로(능력)빈곤층에 대한 정의 19 제2절 기초생활보장제도 현황 24 제3절 근로장려세제 현황 및 기초생활보장제도와의 관계 40 제3장 근로(능력)빈곤층 특성: 기초생활보장 및 근로장려금 수급가구를 중심으로 53 제1절 가구원 단위의 근로빈곤층 특성 56 제2절 가구 단위의 근로빈곤층 특성 67 제3절 소결 84 제4장 근로장려금 수급과 노동시장 참여 분석: 기초생활수급 근로(능력)빈곤층을 중심으로 87 제1절 근로장려금의 노동공급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89 제2절 분석대상별 노동시장참여에 대한 기초통계분석 92 제3절 근로장려금 수급여부가 노동시장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102 제5장 결론 117 제1절 주요 연구결과 및 연구의 한계점 117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24 참고문헌 127 부 록 131 부록 1. 조사이전연도 근로장려금 수급여부 적용에 따른 근로능력 정의별가구원수 현황 131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근로(능력)빈곤층에 대한 근로장려세제의 효과 분석
dc.title.alternativeA study about the effect of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on the working and the workable poor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dc.subject.keyword근로장려세제
dc.subject.keyword근로(능력)빈곤층
dc.subject.keyword노동시장 참여 효과
dc.subject.keywordearned income tax credit
dc.subject.keyword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dc.subject.keywordworking poor
dc.subject.keywordlabor particip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o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hn, 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Jayee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수시) 2021-07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Occasional) 2021-07
dc.citation.date2021
dc.date.dateaccepted2021-08-11T06:30:05Z
dc.date.datesubmitted2021-08-11T06:30:05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수시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A
dc.subject.nkisMiddleA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100056_8_2
dc.subject.research미래전략연구
dc.type.project수시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수시21-001-07]근로(능력)빈곤층에 대한 근로장려세제의 효과 분석
dc.subject.kihasa공공부조
dc.subject.kihasa노동연계복지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공공부조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