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코로나19의 확산과 청년노동시장 변화 = The Youth Labor Marke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제목
코로나19의 확산과 청년노동시장 변화 = The Youth Labor Marke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저자

함선유(Ham, Sunyu) ; 이원진(Lee, Wonjin) ; 김지원

저자(타언어)
Ham, Sunyu ; Lee, Wonjin ; Kim, Jiwon
키워드
코로나19 ; 청년 ; 노동시장 ; 경제위기 ; 이행
발행연도
202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확산한 2020년 3~12월 사이 우리나라 15~34세의 청년들이 노동시장 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라는 감염병에 따른 경제위기는 청년층의 주로 종사하고 있는 숙박 및 음식점업과 교육서비스업, 여가 관련서비스업 등의 대면서비스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2020년 3~4월, 12월의 유행기마다 청년층의 고용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2020년 12월경 청년층의 고용률 하락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산업적 요인과 더불어 괜찮은 일자리의 신규 고용이 감소함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학교를 졸업한 이후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는 남성 청년들은 이 시기에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는 대신 노동시장밖에 머물며 취업준비를 이어가는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더불어 청년층 내에서도 성별과 전공, 졸업 후 경과기간에 따라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이 달랐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orking life of the youth popul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youth labor market is known as vulnerable to economic downturns and less resilient than any other age group in previous recessions.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s framework applied to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microdata,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youth population is more affected by the Covid-19 pandemic than other working-age groups. The employment rates of youth decreased both in the first and the third waves of the pandemic. During the first wave (March to April 2020), face-to-face service sectors, where young workers were widely employed, contributed to decreased youth employment. However, by the third wave (December 2020), the hiring freeze on regular positions led young graduates seeking decent jobs to stay out of the labor market. Among the youth population, mal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graduates who left school 2 to 4 years earlier showed the highest decrease in employment. This study also found that gender differences in reacting to this recession. During the pandemic, while the male youth stayed out of the labor market and invested in human capital such as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hiring exams, the female youth returned to the labor market, actively seeking jobs. This repor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youth labor market and policy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코로나19와 청년노동시장 논의 19
제1절 경제위기와 청년노동시장 19
제2절 우리나라 청년노동시장의 특성 24
제3절 코로나19가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31
제4절 소결 37
제3장 연구 설계와 분석대상의 주요 특성 43
제1절 연구 설계 43
제2절 분석대상의 주요 특성 51
제4장 코로나19로 일하는 청년은 줄었는가? 73
제1절 고용률 73
제2절 일시휴직 89
제3절 소결 99
제5장 코로나19 시기, 일하는 청년은 왜 줄어들었는가? 105
제1절 최근 실직 경험 106
제2절 최근 입직 경험 121
제3절 소결 137
제6장 코로나19로 일하지 않는 청년은 무엇을 하나? 141
제1절 적극적 구직자 142
제2절 비경제활동인구의 규모 154
제3절 비경제활동인구의 평소 활동상태 165
제4절 소결 178
제7장 결론 183
제1절 주요 결과 요약 183
제2절 정책적 함의 187
제3절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 제언 191
참고문헌 193
부록 199
부록 1 주요 기술 통계 및 분석 결과 199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수시) 2021-06
ISBN
978-89-6827-788-7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