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남북 간 사회격차 완화를 통한 한반도 평화복지체제 구축 방안 연구 - 북한 주민의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 Building a Peace and Welfar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by Reducing the Social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ocusing on the living conditions of North Korea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조성은
dc.contributor.author민기채
dc.contributor.author김예슬
dc.contributor.author김유휘
dc.contributor.author주보혜
dc.contributor.author송철종
dc.contributor.author백종만
dc.contributor.author구인회
dc.contributor.author박희진
dc.contributor.authorVimut Vanitcharearnthum
dc.contributor.authorGeoffrey M. Ducanes
dc.contributor.author김효주
dc.contributor.author현인해
dc.coverage.temporal2020-01-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4-09T09:25:45Z
dc.date.available2021-04-09T09:25:4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16-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5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이 나아가 남북 주민들의 복지 향상으로 이어지는 이상적인 목표를 평화복지체제로 개념화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방안을 단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기획의 첫걸음이다. 통일된 한반도를 염두에 두고 적극적 평화를 실현하는 분단 극복을 상상해본다면 분단체제의 극복은 남북 간의 사회통합의 문제와 복지의 문제가 동시에 고려될 필요가 있다. 북한의 시장화, 계층화의 진행은 앞으로의 개혁·개방과정에서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 탐색적으로 북한 주민의 생활실태를 분석한 결과 북한 주민 간 생활격차는 상당하게 나타났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다 같이 잘살지 않는 북한이, 급속도로 불평등한 사회로 이행될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남북관계의 개선, 북한 체제의 개혁·개방이 저절로 평화복지국가로의 길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대비하여 준비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he first step in a plan to conceptualize how to establish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mprove the welfare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sidents.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s the goal of a peace and welfare system,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life in North Korea from a gap perspective. In addition, research is conducted to establish a model that can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analyze the social gap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future. To this end,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life in North Korea, a quantitative 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and an additional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approaches the present North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gap”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oriented social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reaking away from the political and military perspective. The peace and welfare system can be defined as a system that establishes the virtuous-cyclic structure of welfare and peace and pursues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entire popul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 are difficult problems that must be addressed in our efforts toward building a peace and welfare system. As examined in this study, the progress of North Korea's marketization and stratification is highly likely to accelerate further in the process of reform and opening up in the future. At least, it is expected that North Korea will rapidly transition to an unequal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 case that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reform and opening of the North Korean regime will not naturally lead to a peaceful welfare state. Therefore, diagnosing the welfare system and living standards in North Korea will be essential to social integ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and welfar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제1부 평화복지체제의 이론과 사례 검토 제2장 평화복지체제에 관한 개념적 논의 29 제1절 평화와 복지와의 관계 31 제2절 평화복지체제의 개념과 구성 37 제3장 이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빈곤과 불평등: 동독의 경험 49 제1절 동독의 빈곤과 사회부조 51 제2절 통일 후 동독 지역의 빈곤 59 제4장 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빈곤과 불평등: 동남아시아 국가들 77 제1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의 빈곤 79 제2절 태국의 사례 89 제3절 필리핀의 사례 111 제2부 북한 주민의 생활실태 제5장 식생활과 건강 135 제1절 농업개혁과 식량생산 137 제2절 식생활 실태와 건강 145 제6장 의생활과 유행 157 제1절 경공업의 현대화·국산화 159 제2절 새로운 트랜드(trend) 167 제7장 주생활과 생활환경 175 제1절 주택건설 현황 177 제2절 생활환경 개선 실태 187 제8장 북한 주민 소비품목의 탐색 197 제1절 소비품목 탐색의 의의와 구성 199 제2절 북한 소비 품목 조사의 결과 210 제3절 북한 주민의 소비 품목 탐색 282 제9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305 제1절 연구의 주요 결과 307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13 참고문헌 323 부록 341 [부록 1] 제2부에 활용된 구술면접자 특성 341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355
dc.languageeng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남북 간 사회격차 완화를 통한 한반도 평화복지체제 구축 방안 연구 - 북한 주민의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Building a Peace and Welfar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by Reducing the Social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ocusing on the living conditions of North Korean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평화복지체제
dc.subject.keyword북한주민 생활실태
dc.subject.keyword한반도 사회통합
dc.subject.keywordpeace and welfare system
dc.subject.keywordNorth Korea
dc.subject.keywordreunific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Sungeu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53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53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4-09T09:25:45Z
dc.date.datesubmitted2021-04-09T09:25:45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K
dc.subject.nkisMiddleK3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40_1_2
dc.subject.research미래전략연구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0-013-00]남북 간 사회격차 완화를 통한 한반도 평화복지체제 구축 방안 연구: 북한 주민의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dc.subject.kihasa국제사회보장
dc.subject.kihasa사회통합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