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말기 암환자 가족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불안: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Self-Rated Health, Depression and Anxiety in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계숙
dc.date.accessioned2021-04-02T02:17:02Z
dc.date.available2021-04-02T02:17:02Z
dc.date.issued2021-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48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말기 암환자 가족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서 이들 가족이 지각하는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건강상태를 높이고 우울과 불안을 낮추는 매개효과를 다룬 연구가 제한적인 것에 주목하여, 말기 암환자 가족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가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의도적 표집을 통해 서울시, 경기도 부천시, 충남 대전시와 세종시, 경남 부산시 지역에 거주하는 말기 암환자 가족 260명의 설문조사자료를 확보하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우울과 불안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연관되었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결속형 사회적 자본에 유의한 부적효과를 보였고, 그러한 결속형 사회적 자본은 우울과 불안을 각각 경감시켰다. 셋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가교형 사회적 자본에 유의한 부적효과를 보였고, 그러한 가교형 사회적 자본은 우울만을 유의미하게 감축시켰다. 넷째,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가 결속형 사회적 자본에 의해 각각 매개됨이 확인되었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관계가 가교형 사회적 자본에 의해 매개됨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들은 말기 암환자 가족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취약해지고, 이들 가족의 우울과 불안이 심화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강화가 절실함을 시사하여, 이를 토대로 하는 사회복지 차원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re have been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of self-rated health with anxiety and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rated health on anxiety and depress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of self-rated health with anxiety and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rough purposive sampling, a total of 260 people were surveyed from Seoul, Bucheon city, Daejeon city, Sejong city and Bus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rated health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self-rated health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bonding social capital, and the bonding social capital decreased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ird, self-rated health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bridging social capital, and the bridging social capital decreased depression only. Fourth, the relationship of self-rated health with anxiety and depression was mediated by bonding social capital. On the other hand, bridging social capit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anxiety only. These results imply that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re definitely necessary to increase self-rated health and to reduce anxiety and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relevant proposals from social welfare perspective.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말기 암환자 가족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불안: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dc.title.alternativeSelf-Rated Health, Depression and Anxiety in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말기 암환자 가족
dc.subject.keyword주관적 건강상태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불안
dc.subject.keyword결속형 사회적 자본
dc.subject.keyword가교형 사회적 자본
dc.subject.keyword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dc.subject.keywordSelf-Rated Health
dc.subject.keywordDepression
dc.subject.keywordAnxiety
dc.subject.keywordBonding Social Capital
dc.subject.keywordBridging Social Capital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Gye Sook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1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21-03-31
dc.citation.startPage212
dc.citation.endPage23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1권 제1호, pp.212-23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1 No.1, pp.212-233
dc.date.dateaccepted2021-04-02T02:17:02Z
dc.date.datesubmitted2021-04-02T02:17:02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