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이용여부에 따른 의료이용 현황과 재입원률 차이 = Differences in Health Care Use and Readmission Rates According to the Use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정규
dc.contributor.author박병규
dc.contributor.author안금희
dc.contributor.author오현철
dc.date.accessioned2021-04-02T02:09:18Z
dc.date.available2021-04-02T02:09:18Z
dc.date.issued2021-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480
dc.description.abstract간호간병 통합서비스는 가족간병인의 재정적 부담, 심리적 스트레스 육체적 피로를 경감하고자 2015년도에 보험급여화되었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의 환자와 간호사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의료이용 및 재입원률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이 연구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이용여부에 따른 의료이용과 재입원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성향점수 매칭을 활용하여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이용군’과 ‘일반병동 이용군’을 1:1로 선정하였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이용여부에 따른 재원일수 및 진료비 등의 의료이용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퇴원 후 30일 이내 재입원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이용군’의 재원일수는 평균 0.2일 길었고 진료비는 일평균 7만4천원 많았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이용군’이 퇴원 후 30일 이내에 재입원할 확률은 ‘일반병동 이용군’에 비해 약 13% 낮았다. 주진단군별로 나누어 확인하여도 ‘관절증’, ‘명시된 상세불명 및 다발성 신체부위의 기타 손상’, ‘대퇴골의 골절’을 제외하고는 퇴원 후 30일 이내에 재입원할 확률은 일반 병동을 이용하는 환자에 비해 낮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아울러 환자의 안전 및 진료결과에 대한 보상을 통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comprehensive nursing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reduce informal care-giving and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on patients’ prognosis. This study used a Nation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 releas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case group is a patient who hospitalized in 2015-2019. We used a statistical matching technique called propensity-scores estimating to reduce the bias due to confounding variables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 The final sample included 4,368,956 (case group: 2,210,774, control group: 2,158,182). We used a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identify the effect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on patients’ prognosis while adjusting for confounders. According to results, The probability that patients using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ill be re-admission within 30 days of discharge from hospital was lower compared to patients using the general ward. Most of the cases were roughly the same except for a few disease groups. The quality of nursing is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s' prognosi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s established in a stable manner through compensation for patients' safety and medical results.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이용여부에 따른 의료이용 현황과 재입원률 차이
dc.title.alternativeDifferences in Health Care Use and Readmission Rates According to the Use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간호간병 통합서비스
dc.subject.keyword30일 이내 재입원
dc.subject.keyword성향점수 매칭
dc.subject.keyword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dc.subject.keywordPatient’s Prognosis
dc.subject.keywordPropensity Score Matching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Jung Ky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Byung Ky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hn, Keum Hu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Hyun Chul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1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21-03-31
dc.citation.startPage251
dc.citation.endPage26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1권 제1호, pp.251-26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1 No.1, pp.251-264
dc.date.dateaccepted2021-04-02T02:09:18Z
dc.date.datesubmitted2021-04-02T02:09:18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