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종합 연구 Ⅱ = A Comprehensive Study of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in Korea (Ⅱ)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해식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contributor.author고혜진
dc.contributor.author여유진
dc.contributor.author권지성
dc.contributor.author정선욱
dc.contributor.author김지원
dc.contributor.author이정윤
dc.contributor.author전영섭
dc.contributor.author권석만
dc.contributor.author김석호
dc.contributor.author박윤주
dc.contributor.author신혜란
dc.contributor.author이봉주
dc.contributor.author채수홍
dc.contributor.author홍석철
dc.contributor.author구서정
dc.contributor.author이수진
dc.contributor.authorCassandra Gutierrez
dc.contributor.author유승우
dc.contributor.author손민지
dc.coverage.temporal2020-01-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31T10:04:29Z
dc.date.available2021-03-31T10:04:2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22-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43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대한 근거 자료를 축적하여 한국인의 행복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수립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모두 3년에 걸쳐 진행할 연구의 2년차 과제로써 이 보고서는 생애주기별 경험과 이에 대한 개인 및 제도의 대응 방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2020년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실태조사」를 수행하고,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생애주기에 따라 행복한 삶을 위해 중요한 영역에 대한 인식, 그 영역별 만족도와 행복도의 특징을 제시하고 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상생활재구성법을 이용하여 누구와 어떤 경험을 할 때 행복하고 불행한지를 확인하고, 국제 비교 관점에서 우리나라 행복도의 특징 및 행복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도구로 풍요지수를 분석하고 있다. 양적조사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우리나라 국민들의 복지에 대한 필요와 행복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욕구 충족에 있어 국가의 역할 확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행복 특징을 비교사회학적으로 해석하고자 3년으로 계획한 국제비교 질적 연구의 2년차 분석대상인 멕시코, 코스타리가 사람들의 행복 특성을 분석한 결과, 행복이 정치경제적 조건 만을 토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구성과도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한국 사회는 행복을 개인이 만들어가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세대에서 사회가 행복을 위한 조건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세대로 교체가 이뤄지고 있다. 행복을 위한 새로운 정책 구성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 연구가 주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s. In 2020, the second year of this 3-year research project, we analyze the effects of life-cycle experiences and the response of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on happiness. In order to achieve the policy goals of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promoting happines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ulfillment of needs, un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happiness.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three ways. First, the 2020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Survey of Korean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 of people's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The survey following the 2019 survey added questions about the conditions and importance of happiness, the fulfillment of need,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the use of time for the elderly, and the flourishing. Seco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grasp the path of risk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institutional response on individu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eople in two Latin American countries so that we could compare and analyze the quality of happiness in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people. Following a 2019 study of two Northern European countries, the population of two Latin American countries (Mexico, Costa Rica) was surveyed in 202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Koreans identified as important for happiness varied across the life cycle. Second, a survey using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for the elderly confirmed that the more isolated older adults become, the less happy they are. Third, w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happiness in our country. The low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is accompanied by a negative assessment of the sufficient conditions for happiness as they grow older. Fourth, we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Flourishing Index (FI) could be used for happiness research, as it has an edge over the life satisfaction scale when it comes to the concept of multidimensional happiness. Fifth, in order to promote happiness, it is necessary to expand welfare, and to more accurately respond to people’s various needs. Sixth, happiness is not only based on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It is closely related to socio-cultural composition, and expectations for society's role in satisfying happiness are growing in our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deal analysis,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romoting happiness in Korean society. In Korean society, the need to respond through the welfare system is increasing. Ensuring a minimum level of these needs selectively is unlikely to result in an increase in happiness. When welfare is expanded to a level that guarantees freedom to make life choices, the happiness of our society will increa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13 제2장 생애주기와 행복 21 제1절 문제 제기 23 제2절 선행연구 검토 24 제3절 생애주기별 가치와 행복 26 제4절 소결 54 제3장 노인의 일상생활 경험과 행복 57 제1절 문제 제기 59 제2절 선행연구 검토 60 제3절 분석 결과 65 제4절 소결 81 제4장 한국 사회의 행복 87 제1절 문제 제기 89 제2절 국제 비교 관점에서 살펴본 한국 사회의 행복 90 제3절 한국 사회의 행복에 대한 평가 95 제4절 소결 106 제5장 행복 측정에서 풍요지수(FI)의 탐색적 적용 109 제1절 문제 제기 111 제2절 분석 방법 112 제3절 영역별ㆍ요인별 풍요지수(FI)의 수준 113 제4절 풍요지수(FI)의 결정 요인 126 제5절 소결 131 제6장 한국인의 행복에 대한 질적 연구 133 제1절 문제제기 135 제2절 연구 방법 136 제3절 연구 결과 139 제4절 소결 195 제7장 중남미 주요 국가의 행복과 삶의 질에 대한 질적 연구 199 제1절 문제 제기 201 제2절 중남미 국가 행복 연구 동향 202 제3절 질적 연구 설계 211 제4절 질적 연구 결과 217 제5절 소결 267 제8장 결론 273 제1절 요약 275 제2절 정책 제안 277 참고문헌 2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53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종합 연구 Ⅱ
dc.title.alternativeA Comprehensive Study of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in Korea (Ⅱ)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행복
dc.subject.keyword정책수혜 경험
dc.subject.keyword자유로운 선택
dc.subject.keyword풍요지수
dc.subject.keywordhappiness
dc.subject.keywordpolicy beneficiary experience
dc.subject.keywordfreedom to make life choices
dc.subject.keywordflourishing Index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Hae-sik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협동연구보고서 2020-01
dc.identifier.localId협동Research Monographs 2020-01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31T10:04:29Z
dc.date.datesubmitted2021-03-31T10:04:29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협동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I
dc.subject.nkisMiddleI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41_1_2
dc.subject.research소득보장정책연구
dc.type.project협동연구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협동20-001-00]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종합 연구 Ⅱ
dc.subject.kihasa사회통합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