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고령장애인의 커뮤니티케어 적용을 위한 주거지원 방안 연구 = A study on housing support policy for the application of community care for elderly with disabilities

제목
고령장애인의 커뮤니티케어 적용을 위한 주거지원 방안 연구 = A study on housing support policy for the application of community care for elderly with disabilities
저자

황주희(Hwang, Juhee) ; 김진희 ; 강은나이태진 ; 남기철 ; 노승현 ; 이재춘 ; 조성재 ; 김미옥

저자(타언어)
Hwang, Juhee
키워드
고령장애인 ; 커뮤니티케어 ; 주거지원
발행연도
202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커뮤니티케어의 정책 대상으로서 고령장애인을 제안하고, 이들의 지역사회에서의 자립적인 삶을 통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본 전제인 주거안정화 방안, 즉 주거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현행 커뮤니티케어 정책의 노인 및 장애인 대상별 구분 및 시설노인 및 장애인을 타겟팅한 방식에 대한 한계를 발견하였고 현행 커뮤니티케어 정책의 대상 변화에 따른 주거지원 정책의 이슈 및 쟁점 등을 파악하여 수요자 중심의 주거지원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Community care in South Korea was proposed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sustainability of care costs and overcoming the limits of governmental measures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population aging and the resulting escalation of demand for medical care services. Currently, trial projects for community care are underway.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care means a change in the response to the demand for care services, which the government has been attempting to address by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hat provides comprehensive services (health and medical care, long term care and housing support, etc.) within local communities. In other words, the goal i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welfare system centered on local communities instead of hospitals or other accommodation facilities.
This is meaningful as a strategy for addressing population aging worldwide as well as for the imperativeness of its normative aspects, such as the realization of the rights of welfare recipients, establishment of a recipient-centered welfare support system, and fulfillment of the ideal of “aging in place.” Therefore there have been no objections about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current efforts in this regard. I agree with the direction of community care that the government is pursuing, and I have considered ways of achieving the policy goals proposed by the government more efficiently than planned.
Consequently the two primary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propose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s the target group for community care, and two, to derive housing support measures as a basic premise in order to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that enables such elderly people to lead self-reliant and independent lives as members of their local communities. In community care, housing support is the most basic premise that allows target groups to live their everyday lives in their local communities. It may also be a key policy too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s the expansion of community care policy target groups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explains the need to conside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elderly people and the goals and purposes of the community care policy.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four community care measures for housing support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first, the strengthening of the demand-centered housing support policy; seco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fundamental models based on local communities;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housing support system to provide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fourth,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professional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housing support, counseling, and casework management.
목차
Abstract 1
요 약 5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1
제2장 커뮤니티케어와 고령장애인의 주거지원의 의미 23
제1절 탈시설과 커뮤니티케어 25
제2절 커뮤니티케어 대상으로서의 고령장애인 48
제3절 고령장애인과 주거지원 68
제4절 소결 83
제3장 고령장애인 주거지원 정책 현황 및 선도사업의 주거지원 89
제1절 중앙정부 차원의 주거지원 정책 현황 91
제2절 지방정부 및 민간의 주거지원 사업 사례 127
제3절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에서의 주거지원 154
제4절 소결: 고령장애인 대상 주거지원정책 현황 169
제4장 고령장애인의 주거 특성 및 욕구 173
제1절 고령장애인의 주거 특성 175
제2절 고령장애인의 주거지원 욕구 233
제3절 소결: 고령장애인의 주거지원 관련 이슈 및 쟁점 262
제5장 해외의 고령장애인 주거지원 현황 269
제1절 영국의 주거지원 272
제2절 미국의 주거지원 298
제3절 독일의 주거지원 및 주거 모델 322
제4절 일본의 주거지원 354
제5절 소결: 해외 주거지원에서의 함의 379
제6장 결론 383
제1절 커뮤니티케어와 고령장애인 385
제2절 고령장애인을 위한 주거지원 방안 393
참고문헌 417
부록 441
부록 1. 2017년 노인실태조사 분석 결과: 복지욕구 441
부록 2.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분석 결과: 복지욕구 462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0-41
ISBN
978-89-6827-763-4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지역사회보장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사회서비스 > 장애인 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