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초고령사회 노인의 다양성과 사회정책적 대응 = Diversity and Sociopolicy Response of the Elderly in Post-Aged Socie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경래
dc.contributor.author황남희
dc.contributor.author진화영
dc.contributor.author유재언
dc.coverage.temporal2020-01-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24T07:31:38Z
dc.date.available2021-03-24T07:31:3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66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51
dc.description.abstract고령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안에 포함된 개인들의 특성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는 기존 노인들의 특성이 변화하는 것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이질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노인들이 새로 합류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특성이 복잡다단한 양상을 띠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노인 집단의 다양성을 분석하고 초고령사회에서 우리 사회가 대처해야 할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다양성은 다차원적인 특성을 지녀 일관된 정의를 내리기 어렵지만, ‘다름(차이)’ 그 자체로서의 ‘이종성(異種性)’의 관점을 고려하여 다양성으로 정의하였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인 집단의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집단 내부에서의 생활영역별 변화와 차이를 연령, 출생코호트, 시기에 초점을 두고 심층 분석하고, 생활 전반에서의 변화와 차이도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After entering the aged society, Korea is currently moving toward the post-aged society. The number and population ratio of the elderly are increasing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are getting diversified. This not only means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elderly, but also shows the complicating overall characteristics as the new elderly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join the existing group. Paying attention to this part,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measures for coping with the post-aged society. The senescence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aging, and getting old means facing such regressive and negative changes different from the past in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 However, the degree of change is different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and the aging itself is multilayered and also has mutual influences between elements, which must be complicating. The diversity has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so it is difficult to give it a consistent definition. This study defined the diversity by considering the perspective of ‘difference’ itself. Even though the current elderly generation belongs to the same age group of ‘the elderly’, the baby boom generation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existing elderly is continuously flown into it, and the diversity within the elderly group gets intensified, which would be even stronger as time passes. In the level of socio-policy response related to the diversity of the elderly, the best method is the customized-response based on the diversity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ging,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in the state of considering the change, difference, and expan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many area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이론적 논의 13 제1절 주요 개념 고찰 15 제2절 선행연구 고찰 25 제3장 노인 집단의 특성 변화 41 제1절 자료 및 분석 개요 43 제2절 노인 집단의 특성 변화 45 제4장 노인의 연령·코호트·시기별 주요 특성 변화 추이 71 제1절 자료 및 분석 개요 73 제2절 노인의 연령·코호트·시기별 주요 특성 변화(중년층 포함) 79 제5장 노인의 연령·코호트·시기별 잠재계층 변화 추이 105 제1절 분석 개요 및 유형화 결과 107 제2절 노인의 연령·코호트·시기별 잠재계층 변화 추이 110 제6장 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사회정책적 대응 방안 143 제1절 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법적·정책적 대응 현황 145 제2절 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향후 전망 164 제3절 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사회정책적 대응 방안 174 제7장 결론 185 제1절 종합 187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93 참고문헌 197 부 록 213 [부록 1] 4개 중고령 조사에서의 연령별 지표 점수 213 [부록 2] 잠재유형분석 결과 2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6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초고령사회 노인의 다양성과 사회정책적 대응
dc.title.alternativeDiversity and Sociopolicy Response of the Elderly in Post-Aged Societ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초고령사회
dc.subject.keyword노인
dc.subject.keyword다양성
dc.subject.keyword차이
dc.subject.keywordpost-aged society
dc.subject.keywordthe elderly
dc.subject.keyworddiversity
dc.subject.keyworddifferenc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yeongrae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45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45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24T07:31:38Z
dc.date.datesubmitted2021-03-24T07:31:38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I
dc.subject.nkisMiddleI3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28_9_2
dc.subject.research인구정책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0-001-11]초고령사회 노인의 다양성과 사회·정책적 대응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dc.subject.kihasa노인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