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 = A Study of Social Unrest in Korea: For Young Peopl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ontributor.author곽윤경
dc.contributor.author전지현
dc.coverage.temporal2020-01-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23T09:25:52Z
dc.date.available2021-03-23T09:25:5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19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45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 수준과 사회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을 규명하기 위해 사회적 불안의 측정, 사회적 불안의 수준과 구조, 사회적 불안의 요인, 그리고 사회적 불안의 대처기제를 포괄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적 불안에 대한 5년간의 연구,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중 2차년의 연구로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을 초점으로 하고 있다. 코로나19의 확산과 1차 연도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질적 연구 결과,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논의가 더 시급하다는 점이 반영되었다. 연구의 주된 방법은 웹조사 방식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다수의 전문가 및 청·중년이 참여한 자문회의 개최이다. 사회적 불안에 대한 관심이 높은 이유는 사회적 불안은 일종의 공통적 사고방식으로 여러 가지 사회문제의 근원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보장의 설계와 개선은 사회적 불안에 대한 이해와 무관하기 어렵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불안의 관리 기제의 구축을 제안하고, 더불어 청·중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정책이 변화하기를 제안했다. 최근 청·중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정책이 강화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정책들이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을 낮출 수 있는 제반 요인을 고려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social unrest among young people in Korea.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conceptual construct and level of social unrest and factors affecting social unrest. Now in its second year, this study bases its findings on a web-based social survey. The five elements identified that construct the concept of social unrest are: justice, competition and inequality, security, trust in government, adaptation/falling behind. Justice and trust in government are key nods in the network of every elemental questions of social unrest index. Socioeconomic class affects social unrest of young people, especially assets of parents and income of respondents. Research findings support that social gathering could mitigate social unrest and that self-esteem affects social unrest as a parameter.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policy suggestions including building a monitoring system and making changes to youth polic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연구의 개요 9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제2절 연구의 구성과 주요 내용 20 제3절 연구의 방법 23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와 분석틀 27 제1절 분석의 전제: 사회적 불안에 대한 이해 29 제2절 한국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연구와 함의 38 제3절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연구와 함의 45 제4절 분석틀과 조사내용의 구성 50 제3장 청·중년 사회적 불안의 수준과 집단 비교 57 제1절 국가 단위 사회적 불안 비교 60 제2절 사회적 불안의 측정과 구조 67 제3절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불안 82 제4절 주요 요인별 사회적 불안 87 제4장 사회적 불안의 설명요인 103 제1절 분석 목적과 방법 105 제2절 사회적 불안의 중심 요소 118 제3절 사회적 불안의 외재적 설명요인 124 제4절 소결 134 제5장 사회경제적 계층과 청ㆍ중년 사회적 불안 137 제1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139 제2절 계층과 사회적 불안의 인지 148 제3절 계층과 영역별 사회적 불안 159 제4절 계층별 생애 경험과 사회적 불안 169 제5절 소결 181 제6장 청·중년 사회적 불안과 대처기제 183 제1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185 제2절 집단별 대처방식과 사회참여 비교 192 제3절 사회적 불안에 대한 대처기제의 영향 209 제4절 소결 227 제7장 결론: 주요 분석 결과와 정책제안 231 제1절 주요 결과와 시사점 233 제2절 사회적 불안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제안 236 참고문헌 251 부록: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 설문지 265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29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Lee, Hyonjoo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Social Unrest in Korea: For Young Peopl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적 불안
dc.subject.keyword청·중년
dc.subject.keyword사회정책
dc.subject.keyword계층
dc.subject.keyword공정성
dc.subject.keyword자존감
dc.subject.keywordsocial unrest
dc.subject.keywordyouth
dc.subject.keywordsocial policy
dc.subject.keywordjustice
dc.subject.keywordsocioeconomic clas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yonjoo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0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06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23T09:25:52Z
dc.date.datesubmitted2021-03-23T09:25:52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30_1_1
dc.subject.research소득보장정책연구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0-003-00]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
dc.subject.kihasa사회통합
dc.subject.kihasa사회보장 계획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계획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6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