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아시아 체제 전환국 사회보장체계 연구-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 Social Security System in Asian Transition Countr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고혜진
dc.contributor.author김현진
dc.contributor.author김현경
dc.contributor.author김희숙
dc.contributor.author민기채
dc.contributor.author응웬타오
dc.contributor.author백용훈
dc.coverage.temporal2020-05-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22T06:00:39Z
dc.date.available2021-03-22T06:00:3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26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2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체제 전환 전후 아시아 체제 전환국 사회보장제도의 변화와 성과, 그리고 사회주의 유산으로 인한 개혁의 한계를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시아 체제 전환국의 경험을 살피는 것은, 북한의 체제이행 과정에서 예상되는 과제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준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아시아 체제 전환국들은 유럽 체제 전환국과 비교할 때, 부분적이고 점진적인 전환을 추진하여, 북한에서 최근 나타나는 변화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체제 전환 양상을 비롯하여 북한과 유사한 경제력, 문화적 특질을 가진 아시아 체제 전환국의 경험으로 논의를 확장하여, 더욱 북한 실정에 부합하는 여러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베트남과 미얀마, 캄보디아 등 아시아 체제 전환국은 유럽의 체제 전환국들과 달리, 정치 체계는 유지하면서 경제 영역에서만 부분적인 개방을 추진하였다. 이에 기존 사회주의 시기의 정치 권력이 체제 전환 이후에도 유지되어 경제적 자원도 기득권층이 배타적으로 보유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사회보장 부문에서도 일부 보편적 속성이 나타나지만, 대체로 지배계급에 우호적인 제도가 유지된다. 또한, 복지 제공자가 다양해짐에 따라 양질의 사회보장 서비스 이용에서의 불평등이 대두되는 한편, 특권층이 점유한 기업 등에 대한 각종 세금 혜택으로 사회보장기여금의 조달이 원활하지 않아, 향후에도 사회보장 수준이 크게 개선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노인과 아동, 빈곤층 등의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사회보장이 시혜적인 차원으로 다뤄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 수준도 미미하다. 아시아 체제 전환국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정치 체제가 유지되는 아시아 방식이 북한에서도 채택된다면 지배계층에게 유리하게 설계된 사회보장제도를 개편하고 이들이 독점한 경제 자원이 사회보장 재원으로 쓰일 수 있도록 개선을 이뤄나가는 것이 주요한 과제가 되리라 생각한다. 이와 더불어, 사회주의 체제에서 법적, 제도적으로 완비되지 못했던 빈곤과 실업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확충하는 것이 우선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동시에, 자본주의 체제에 부합하는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사각지대 문제의 해소와 기여금 제도 도입이 안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것 역시 필요하겠다. 또한, 아시아 국가들의 체제 전환에서 국제기구들의 역할이 컸고, 유럽 국가들이 이웃 국가들의 도움으로 체제 변화에 적응해 간 것처럼, 체제 전환을 준비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남한과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북한이 체제 변환을 안착시킬 수 있게 돕는 것 역시 요구된다.
dc.description.abstractWe examine the changes in social security systems in Asian transition countries and the limitations of socialist heritage reforms. Unlike other European transition countries, Asian transition countries formulated partial opening in the economic field while maintaining their political system. Accordingly, the existing socialist period's political power is maintained even after the transition, and economic resources tend to be exclusively occupied by the privileged. In general, the social security system is also favorable to the ruling class. Besides, social security expansion is not expected as it is challenging to finance contributions from companies and others due to various tax breaks. As economic development comes first, social security is a strong tendency to be treated as a second priority. Also, there is an aspect of inequality in the use of services as the private sector is also involved in welfare provision after the system transi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 틀 21 제1절 체제 전환국의 사회보장체계와 사회주의 유산 23 제2절 아시아 체제 전환국의 사회보장체계 분석 틀 29 제3장 베트남의 체제 전환과 사회보장체계 변화 53 제1절 베트남 체제 전환의 배경 55 제2절 체제 전환 이전의 사회보장체계 58 제3절 체제 전환 이후의 사회보장체계 변화 62 제4절 체제 전환 이후 사회보장에서의 공사 역할 분담 84 제5절 체제 전환 이후 사회보장의 성과와 한계 94 제4장 미얀마의 체제 전환과 사회보장체계 변화 103 제1절 미얀마 체제 전환의 배경 105 제2절 체제 전환 이전의 사회보장체계 120 제3절 체제 전환 이후의 사회보장체계 변화 127 제4절 체제 전환 이후 사회보장의 성과와 한계 149 제5장 캄보디아의 체제 전환과 사회보장체계 변화 159 제1절 캄보디아 체제 전환의 배경 161 제2절 체제 전환 이전의 사회보장체계 166 제3절 체제 전환 이후의 사회보장체계 변화 171 제4절 체제 전환 이후 사회보장의 성과와 한계 193 제6장 북한에의 시사점과 남북협력 방안 203 제1절 북한에의 시사점 도출의 필요성 207 제2절 북한 사회보장체계의 변화와 과제 212 제3절 북한의 사회보장을 위한 남북협력 방안 229 제7장 결 론 233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235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추후 과제 250 참고문헌 2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9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아시아 체제 전환국 사회보장체계 연구-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Social Security System in Asian Transition Countri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체제 전환
dc.subject.keyword사회보장
dc.subject.keyword베트남
dc.subject.keyword미얀마
dc.subject.keyword캄보디아
dc.subject.keyword북한
dc.subject.keywordtransition
dc.subject.keywordsocial security
dc.subject.keywordVietnam
dc.subject.keywordMyanmar
dc.subject.keywordCambodia
dc.subject.keywordNorth Kore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Hyeji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12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12
dc.citation.date2020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22T06:00:39Z
dc.date.datesubmitted2021-03-22T06:00:39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93_1_1
dc.subject.research미래전략연구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0-005-00]아시아 체제 전환국의 사회보장체계 연구-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dc.subject.kihasa국제사회보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