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신혼부부의 주거자금 조달방식과 부모 지원의 젠더-계층적 성격 = Sources of Housing Funding for Newlyweds: A Gender- and Class-Stratified Analysis of Intergenerational Giving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선영
dc.contributor.author오신휘
dc.contributor.author박종서
dc.date.accessioned2021-02-19T06:52:13Z
dc.date.available2021-02-19T06:52:13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13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08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최근 결혼한 부부들이 거주주택 자금을 어떻게 조달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신혼부부는 주거자금조달을 위해 상당한 규모의 자금을 외부에서 조달해야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외부자금이 사적인 부모-자녀 관계에 의해 충당되는 실태를 파악하고, 세대간 자원이전의 성격을 계층과 젠더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한국가족의 세대 및 젠더 관계에 대한 함의를 연구했다. 연구 결과, 결혼 첫 주택 마련 시 부모의 지원은 신혼부부 10쌍 중 7쌍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그러나 주거자금의 절반 이상을 부모에게 의존하는 현상은 상대적으로 일찍 결혼하거나 외벌이인 가구, 특히 주거자산 상위계층에 집중된 현상이었다. 이러한 특징은 현재 한국사회에서 부모의 성인자녀 결혼주거자금 지원이 자녀의 필요에 대응하는 복지적 성격과 자산상위계층의 부의 세습 수단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모두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두 성격 모두에서 부모의 성인자녀 지원은 남성측 부모에 의한 남성자녀 중심의 지원, 즉 젠더편향적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세대 간의 자립을 뒷받침하는 공적인 지원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가족문화의 변화도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ttempted to capture the gender and inter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funding in newlyweds. Seven out of 10 newlywed couples were found to receive parental support. The amount of parental support varied across families of different asset levels. This study divided the observed newlyweds into two groups: those with more than half their housing fund coming from their parents (dependent type), and those with less than 50 percent of their housing fund given by the parents (independent type). The younger the age at marriage, the more prone to single-income earning, and the higher the asset level,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parental dependent type. This study also found that support from parents in all social strata centered mainly on the husband's parents. Women had lower incomes and were less likely to receive housing funding from their own parents. Women were often placed in a state of double dependence, a factor destabilizing their position in the marriage proc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기존 연구 검토 15 제3절 연구대상과 방법 22 제2장 결혼 초기 주거형태의 역사적·제도적 배경 33 제1절 결혼과 결혼 초기 주거의 변화 추세 35 제2절 신혼부부 주거정책 검토와 정책 함의 40 제3절 신혼부부의 생애과정과 사회경제적 특징 60 제3장 결혼주거자금 조달 실태와 유형 79 제1절 결혼주거자금 조달 실태 81 제2절 결혼주거자금 조달방식의 유형화 100 제4장 신혼부부의 특성과 결혼주거자금 조달유형 115 제1절 신혼부부의 인구·사회경제적 특성과 주거자금 조달유형 117 제2절 신혼부부의 태도와 주거자금 조달유형의 관계 130 제5장 결론 141 제1절 연구의 요약 143 제2절 연구의 함의와 향후 과제 146 참고문헌 155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신혼부부의 주거자금 조달방식과 부모 지원의 젠더-계층적 성격
dc.title.alternativeSources of Housing Funding for Newlyweds: A Gender- and Class-Stratified Analysis of Intergenerational Giving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결혼
dc.subject.keyword주거자금
dc.subject.keyword세대관계
dc.subject.keyword젠더관계
dc.subject.keyword세대 간 이전
dc.subject.keyword자산불평등
dc.subject.keywordmarriage
dc.subject.keywordhousing fund
dc.subject.keywordgender
dc.subject.keywordhousing asset inequality
dc.subject.keywordintergenerational transfer
dc.subject.keywordparental financial support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Sun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Shinhw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Jongseo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수시) 2020-0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수시) 2020-08
dc.citation.date2020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2-19T06:52:13Z
dc.date.datesubmitted2021-02-19T06:52:13Z
dc.type.research정책
dc.type.nkis수시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I
dc.subject.nkisMiddleI4
dc.subject.kihasa가족변화
dc.subject.kihasa가족정책
dc.subject.kihasa젠더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정책
인구와 가족 > 젠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