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및 취약보육서비스 확대 성과 평가 - 돌봄취약가구를 중심으로 = Evaluation study of expanding public daycare centers and preferential provision for the vulnerable: Emphasis given to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혜진
dc.contributor.author정홍원
dc.contributor.author황안나
dc.date.accessioned2021-02-19T06:22:22Z
dc.date.available2021-02-19T06:22:2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11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07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및 취약보육서비스 확대가 돌봄취약가구의 보육기회를 향상시키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취약가구 여부 변수, 지역변수, 그리고 시기변수를 조합한 이중차이 및 삼중차이 방법을 적용한 비선형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평가모형을 설계하였다. 분석에 활용되는 주요 개념인 돌봄취약가구는 기존문헌과 현행 제도를 참고하여 맞벌이, 다문화, 저소득, 한부모 가구로 설정하였고, 지역범주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의 구분을 적용하였다. 평가기간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이며, 자료분석에는 신혼부부통계와 보육실태조사, 그리고 보육통계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맞벌이 가구의 보육서비스 이용은 평가기간 동안 홑벌이 가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다문화 가구의 경우 서비스 이용률이 더 낮아지는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또한, 맞벌이 가구의 경우 중소도시와 대도시 및 농어촌과의 서비스 이용률 격차가 감소한 반면, 다문화 가구의 경우 더 커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현재의 입소우선순위에 대한 재검토하여 돌봄취약가구의 취약성을 보다 세밀하게 반영하는 것과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취약성이 높은 다문화 가구와 같은 돌봄취약가구의 보육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도입 검토를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We conducted a study of changes in the enrolment of children from dual earner, marriage immigrants, and low-income in early child care centres. The study was carried out using the Newly Married Couple Statistics and Child Care Survey, and Child Care Statistics which offers unique possibilities to study child care enrolment. The results show that regional inequality has changed differently and public child care centres. Also, the recent policy strategy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hild care use from dual earner families while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marriage immigrants families. The results implies that the inequalities in childcare use was deepened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선행연구 및 평가방법 23 제1절 선행연구 25 제2절 평가방법 31 제3절 분석자료의 특성과 분석변수 39 제3장 취약보육지원 및 어린이집 확충 정책 49 제1절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정책 51 제2절 취약보육 지원 정책 58 제3절 시사점 63 제4장 지역별 보육시설 공급 분석 65 제1절 지역별·시설유형별 어린이집 확충 현황 67 제2절 지역별·기관유형별 어린이집 공급 변화 분석 73 제3절 소결 78 제5장 돌봄취약가구의 보육시설 이용률 분석 79 제1절 돌봄취약가구의 분포 변화 81 제2절 돌봄취약가구별 보육시설 이용 변화 90 제3절 돌봄취약가구의 보육시설 이용률 분석 104 제4절 소결 111 제6장 돌봄취약가구의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분석 113 제1절 돌봄취약가구별 국공립어린이집 이용 변화 115 제2절 돌봄취약가구의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분석 133 제3절 소결 139 제7장 결론과 정책 제언 141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43 제2절 정책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145 참고문헌 151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및 취약보육서비스 확대 성과 평가 - 돌봄취약가구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Evaluation study of expanding public daycare centers and preferential provision for the vulnerable: Emphasis given to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돌봄취약가구
dc.subject.keyword맞벌이
dc.subject.keyword다문화
dc.subject.keyword실직
dc.subject.keyword행정통계
dc.subject.keyword삼중차이
dc.subject.keywordchildcare
dc.subject.keywordaccessibility
dc.subject.keyworddual earner
dc.subject.keywordmulticultural and marriage immigrants
dc.subject.keywordlow-income
dc.subject.keywordand singleparent familie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Hye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g, Hongw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황안나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수시) 2020-0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수시) 2020-06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2-19T06:22:22Z
dc.date.datesubmitted2021-02-19T06:22:22Z
dc.type.research기초
dc.type.nkis수시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I
dc.subject.nkisMiddleI4
dc.subject.kihasa사회서비스 일반
dc.subject.kihasa아동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