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의 지역사회 연속적 거주를 위한 주거지원과 서비스 연계 방안 = Strategies of Housing Support and Service Linkage for Older Adults’ Aging in Plac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주보혜
dc.contributor.author이선희
dc.contributor.author임덕영
dc.contributor.auth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김혜진
dc.date.accessioned2021-02-04T08:47:53Z
dc.date.available2021-02-04T08:47:53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03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686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초고령사회 진전이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주거정책의 방향성이 지역사회 중심, 개별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되어야 한다는 문제 의식 하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고령자 거주에 적합한 주거환경을 구축함으로써 노인의 지역사회 연속적 거주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국내외 노인 주거지원 현황을 검토하였으며, 현 시점 노인가구의 주거특성과 정책적 욕구를 다각적인 방면에서 파악하였다. 아울러 실효성 있는 정책제언을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고령자 거주에 적합한 주거지원 및 서비스 연계방안에 대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고령자 거주를 위한 물리적 공간 확보와 재정지원 등의 하드웨어적 주거지원과 개별 고령자의 욕구에 맞춰 주거환경을 유지 및 개선하는 서비스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With its population aging at a rapid pace, Korea is faced with the significant challenge of providing older adults with residential spaces where they can live safely and comfortably. Although most older adults do not wish to leave the area where they have lived for long time, institutional interventions are not properly implemented to make the residential infrastructure suitable for them. In addition, although housing design, technical requirements and guidelines proper to older adults have been already prepared, but many of them have not been actually implemented. Another important point is that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housing supply and financial support, is still insufficient to create a residential environment for older adults. Above all, through consultation there should be customized support that comprehensively grasps housing conditions and physical conditions of a residence among individual households, requires site visiting, provides systematic assessment, and links necessary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nstitutional support and service linkage strategies with a view to establishing housing for older adults to live independently in their community for as long as possible. To this end, we reviewed theories related to Aging in Place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suitable for older adults, the ongoing domestic housing policy on older adults, the current housing service linkage support system, and various projects. To develop consumer-centered policies, we analyzed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households using data from the ‘2019 Residence Survey’. Then, a FGI for 26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nd other area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using and service support needs. We also reviewed overseas cases and searched for ways to concretely realize Aging in Place. The analysis includes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elderly-friendly housing environment, financial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and renovation of elderly-friendly houses, and housing services for Aging in Place.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work, an expert survey was conducted on 33 experts in the fields of housing, welfare for the elderly, and architecture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Aging in Place. Lastly, we summarized the main results and suggested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our findings and analy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연구방법 19 제2장 이론적 배경 23 제1절 AIP 개념 및 국제적 논의 25 제2절 노화에 따른 적절한 주거환경 32 제3절 AIP를 위한 주거지원과 서비스 연계 43 제3장 국내 노인 주거와 서비스 지원 현황 53 제1절 국내 주거지원의 흐름 56 제2절 노인복지시설 62 제3절 공공임대주택 69 제4절 주거환경개선 지원 77 제5절 주거지원서비스의 연계 현황 89 제6절 소결 109 제4장 노인가구의 주거 특성 및 정책적 욕구 111 제1절 노인가구 및 일반가구의 주거 특성 113 제2절 지역사회 거주 중고령자의 주거와 서비스 지원 욕구에 대한 초점집단 인터뷰(FGI) 131 제3절 소결 166 제5장 국외 AIP 지원 현황 169 제1절 고령친화적 주거환경 기준 및 가이드라인 171 제2절 고령친화 주택의 건축 및 개조에 대한 재정지원 206 제3절 AIP를 위한 주거지원서비스 연계 227 제4절 소결 240 제6장 노인 주거지원 및 서비스 연계 관련 함의 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249 제1절 조사개요 251 제2절 조사결과 252 제3절 소결 276 제7장 결 론 279 제1절 종합 281 제2절 정책적 제언 286 참고문헌 303 〔부록 1〕 전문가 조사 3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35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노인의 지역사회 연속적 거주를 위한 주거지원과 서비스 연계 방안
dc.title.alternativeStrategies of Housing Support and Service Linkage for Older Adults’ Aging in Plac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지역사회 연속적 거주
dc.subject.keyword주거정책
dc.subject.keyword고령자 적합 주거
dc.subject.keyword주택 개보수
dc.subject.keyword주거지원서비스
dc.subject.keywordaging in place
dc.subject.keywordhousing policy
dc.subject.keywordage-friendly housing
dc.subject.keywordhome adaptation
dc.subject.keywordhousing support servic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oo, Bohy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unh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im, Deok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ye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Suju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04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04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2-04T08:47:53Z
dc.date.datesubmitted2021-02-04T08:47:53Z
dc.type.research기초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5
dc.subject.kihasa노인복지
dc.subject.kihasa지역사회보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지역사회보장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