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출산·고령사회대책 개선 방안 - 상세자료집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종훈
dc.contributor.author최효진
dc.contributor.author이지혜
dc.contributor.author이봉주
dc.contributor.author김혜영
dc.contributor.author박진
dc.contributor.author이광형
dc.contributor.author이삼식
dc.contributor.author이철희
dc.contributor.author김명순
dc.contributor.author김경근
dc.contributor.author백선희
dc.contributor.author윤자영
dc.contributor.author이정재
dc.contributor.author전병목
dc.contributor.author정익중
dc.contributor.author진미정
dc.contributor.author천현숙
dc.contributor.author홍승아
dc.contributor.author정무성
dc.contributor.author강성호
dc.contributor.author권문일
dc.contributor.author유애정
dc.contributor.author윤종률
dc.contributor.author이상돈
dc.contributor.author이상은
dc.contributor.author전용일
dc.contributor.author지은정
dc.contributor.author황기돈
dc.date.accessioned2020-10-12T00:45:34Z
dc.date.available2020-10-12T00:45:3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6382
dc.description.abstract· 최근의 인구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저출산·고령화는 추세적, 구조적으로 심화되고 있고 그에 따라 우리 경제, 사회 전망을 더욱 어둡게 만들고 있음 - 2017년 현재의 인구추이로 보면, 우리나라는 초저출산 현상의 장기화로 이른바 “저출산의 덫”에 걸린 가운데 베이비붐세대의 본격적 노년층 진입이 마무리 될 때(2020년)까지 급격한 고령화를 경험할 것으로 예상됨 - 2017년부터 시작된 생산가능인구의 규모 축소가 총인구의 감소(2031년 이후 추정)로 이어지면서 국가경제 다운사이징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됨 - 그 결과 우리 경제는 노동력 부족과 생산력 감소로 인한 경제규모와 내수시장 위축과 저성장 기조 고착화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부터 파생되는 사회부양 부담 폭증, 재정 악화, 공공서비스(교육, 국방 등)의 수급 불균형 가속화, 지역공동화 심화로 인해 국가 지속가능성도 위협받게 될 것으로 우려됨 · 현행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을 포함 10여 년간의 인구정책적 대응은 다가오는 이러한 인구절벽 위기를 해소, 완화하기에 정책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투입된 재정과 정책자원 대비 효과성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새정부의 출범(2017.5월)과 더불어 인구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로드맵 제시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요구가 매우 커진 상황임 ·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따라 우리나라 인구정책 개선 방향을 전향적·포괄적 관점에서 모색하고 새로운 추진 방향과 그에 따른 실천전략, 실현 가능한 정책목표를 제시하고자 함 -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수립과 개정, 보완을 통한 지속적인 정책 개선과 대응으로 해소하지 못한 저출산·고령화의 근본적 원인들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인구정책 개선 추진 핵심 방향을 제시함 1) 국민 욕구와 거시적 사회구조 간 연계 강화 2) 수직-수평적 정책조합을 통한 촘촘한 접근 강화 3) 인구개선의 필요-충분조건 동시 충족 4) 시계와 시차를 고려한 목표 설정과 투자 5) 4차 산업혁명 등과의 연계 노력 강화 6) 문화적 접근 강화 7) 다양한 사회주체 간 연대 강화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요약 1 제1장 총괄 분과 7 제1절 새 정부 인구절벽 극복 로드맵 9 제2절 저출산・고령화 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사회복지 패러다임 48 제3절 인구변화에 따른 인력수급변화 전망과 정책과제 60 제4절 인구고령화와 일자리정책 방향 88 제5절 4차 산업혁명과 인구문제 97 제6절 저출산-고령화 대응을 위한 사회경제 구조개혁 과제 108 제7절 가족변화와 저출산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145 제8절 민간지역참여협력 소통 강화 174 제2장 저출산 분과 179 제1절 저출산 분과 총괄 181 제2절 청년 일자리 대책 207 제3절 신혼부부 주거 대책 233 제4절 출산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 258 제5절 아동이 행복하고 안전한 여건 조성을 위한 보완대책 278 제6절 수요자 맞춤형 보육체계로 개편 289 제7절 틈새 없는 맞춤형 돌봄지원체계 구축 326 제8절 교육 개혁 366 제9절 일가정 양립 정착 407 제10절 일하는 방식 개혁 437 제3장 고령사회 분과 461 제1절 고령사회 분과 총괄 463 제2절 노인빈곤해소 : 국민연금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보완 대책 486 제3절 노인 빈곤 완화를 위한 노인기초소득보장 대안의 모색: 노인소득보충급여제도의 도입 504 제4절 노인빈곤해소 : 주택・농지연금 530 제5절 노인의료․요양 관련 보완 대책 : 연속적 노인돌봄서비스 제공체계 구축 545 제6절 생산가능인구 감소 대응전략 599 제7절 노인일자리 대책 659 참고문헌 7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6
dc.languagekor
dc.publisher보건복지부
dc.publisher인구정책개선기획단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저출산·고령사회대책 개선 방안 - 상세자료집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type.other정책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정책보고서 2017-70-3
dc.citation.date2017
dc.date.dateaccepted2020-10-12T00:45:34Z
dc.date.datesubmitted2020-10-12T00:45:34Z
dc.type.research정책
dc.type.nkis수탁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