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의료 환경 변화에 따른 중장기 의료 인력 추계와 정책과제 = Forecasting the demand for and supply of major health workforce in Korea

제목
보건의료 환경 변화에 따른 중장기 의료 인력 추계와 정책과제 = Forecasting the demand for and supply of major health workforce in Korea
저자

오영호 ; 이상영

키워드
보건의료인력 ; 수요추계 ; 공급추계 ; 수급불균형
발행연도
2016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보건의료 인력의 효율적 활용은 보건의료정책의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며, 보건의료 인력의 양성 등 보건자원의 개발·공급에는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기 때문에 수요에 맞게 필요한 만큼 공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공급이 부족할 경우는 국민들의 보건의료 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반면 공급이 과잉일 때는 자원의 낭비가 초래될 뿐만 아니라, 유인수요에 의한 국민의 의료비 부담 가중 등의 문제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보건의료 인력 계획과 활용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저출산 및 사망자의 감소로 인한 인구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과, 급성에서 만성질환으로의 질병구조의 전환,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의 다양화와 고급화가 그 예들이다. 이러한 보건의료 요구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인력을 재분배하고 미래에 필요한 새로운 보건의료 인력을 개발하고 공급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보건의료 인력에 대한 중장기 수급전망과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하 원문 확인>
목차
Abstract 1
요 약 5
제1장 서 론 4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45
제2절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 49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53
제1절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55
제2절 보건의료이용에 미치는 요인 59
제3절 보건의료이용의 변화 71
제4절 보건의료 인력 선행연구 고찰 81
제3장 수급추계 방법 99
제1절 공급추계 방법론 101
제2절 수요추계 방법론 105
제3절 본 연구의 추계 방법론 108
제4장 보건 정책 변화와 의료 인력 수요 119
제1절 해외 환자 유치 및 의료 진출 정책의 인력 수요 121
제2절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확대 정책 수요 130
제3절 환자안전 및 감염관리 전담 인력 정책 수요 133
제4절 정책 및 제도 변화의 총 의료 인력 수요 135
제5장 보건의료 인력 수요 및 공급추계 137
제1절 의사 수요 및 공급추계 139
제2절 치과의사 수요 및 공급추계 170
제3절 한의사 수요 및 공급추계 188
제4절 간호사 수요 및 공급추계 206
제5절 약사 수요 및 공급추계 238
제6장 보건의료 인력 국제 비교 257
제1절 의사 인력 259
제2절 치과의사 인력 261
제3절 간호사 인력 263
제4절 약사 인력 265
제7장 결론 및 정책방안 267
제1절 보건의료 인력 적정 공급 방안 269
제2절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과제 273
참고문헌 277
부 록 289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수시) 2016-06
ISBN
978-89-6827-349-0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자원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