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소득 계층에 따른 시간 빈곤 결정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Time Poverty Determinants By Income Class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박세정
dc.date.accessioned2020-04-07T07:29:04Z
dc.date.available2020-04-07T07:29:04Z
dc.date.issued2020-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49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시간 빈곤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한국 노동자들의 소득 계층별 시간 사용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사람들의 일상 시간에 대한 자료와 개인의 소득이 구체적으로 파악 가능한 한국노동패널 17차 본조사 및 부가조사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 임금 및 비임금 근로자이며, 이들을 균등화 가구소득에 따라 소득 빈곤층, 중산층, 고소득층으로 나누었다. 대상의 일상 시간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 빈곤자를 식별하고, 프로빗 분석(Probit Analysis)을 통해 소득 계층별 시간 빈곤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시간 빈곤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성별, 혼인 여부가 있었다. 소득 계층에 따라서는 자영업 여부와 가구 자산 및 시간당 임금의 로그값 등이 시간 빈곤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시간당 임금의 로그값의 계수가 소득 빈곤층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값을 보이며 소득 빈곤층 내에서는 시간당 임금이 높을수록 근로시간을 늘려 시간 빈곤에 취약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중산층의 경우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시간당 임금이 높을수록 시간 빈곤에 빠지지 않았으며 고소득층은 시간당 임금이 시간 빈곤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heterogeneity of time use by income class among Korean workers using the concept of time poverty. For the analysis, we used the 17th main survey and supplementary survey of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which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people’s daily time use and personal incom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wage and non-wage workers aged between 18 and 59. They are divided into the poor, middle and high income classes based on equivalized household income. Time poverty is identified by using subject's daily time data. Through the Probit Analysis, we look at the factors that determine time poverty by the income classes. As a result, regardless of income level, factors affecting time poverty were gender and marital status. Depending on the income classes, time poverty is influenced by self-employment, log of household assets and log of hourly wages. Within the income poor class, we observed that the poor class are more sensitive to the hourly wage, so they works more when the hourly wage goes up. Meanwhile, the middle cla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High-income cla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ime poverty. In terms of the sensitiveness to the hourly wage, the poor class are more vulnerable to time poverty than the other classes.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소득 계층에 따른 시간 빈곤 결정요인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Time Poverty Determinants By Income Class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시간 빈곤
dc.subject.keyword소득 빈곤층
dc.subject.keyword상충관계
dc.subject.keyword자유시간
dc.subject.keyword임금
dc.subject.keywordTime Poverty
dc.subject.keywordIncome Poor
dc.subject.keywordTrade-Off
dc.subject.keywordFree Time
dc.subject.keywordWage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0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206
dc.citation.endPage23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0권 제1호, pp.206-23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0 No.1, pp.206-237
dc.date.dateaccepted2020-04-07T07:29:04Z
dc.date.datesubmitted2020-04-07T07:29:04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6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