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사회적 불안에 대한 질적 연구 = A Study of Social Unrest in Korea: A Qualitative Analysis

제목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사회적 불안에 대한 질적 연구 = A Study of Social Unrest in Korea: A Qualitative Analysis
저자

이현주(Lee, Hyonjoo) ; 곽윤경 ; 강상경 ; 노영주 ; 전지현

저자(타언어)
Lee, Hyonjoo
키워드
사회적 불안 ; 불안 ; 질적 분석 ; 온라인 빅데이터 분석 ; 스트레스
발행연도
2019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사회적 불안을 이해하는 것은 사회정책을 개선하거나 설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최근 한국에서는 일상의 대화에서 그리고 온라인에서 불안이라는 개념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경험하는 불안에 대하여 질적 분석을 하여 사회적 불안이 갖는 특이성을 개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표면적인 사회적 불안의 근저에서 작용하는 요인들을 파악할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을 통한 면담 내용은 현상학적 분석과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의 완성도와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사회적 불안은 사회정책의 수준과 무관하지 않지만 사회정책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회정책과 관련해서는 실질적 보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사회적 불안을 가중하고 있으며, 각종 정책에 대한 정보 접근성 부족, 제도의 빠른 변경도 불안을 가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미래 불확실성과 자기 결정 및 삶의 선택 제약 등이 사회적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희망이 없다는 인식은 사회 변화에 부정적으로 대응할 위험을 초래한다. 공정성과 신뢰 회복이 더없이 중요하다. 정신건강정책 확대 등 개인적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원도 강화되어야 한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연구 개요 7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9
제2절 선행연구의 경향과 본 연구의 의의 14
제3절 연구의 내용 구성 18
제4절 연구 방법의 개요 20
제2장 불안에 대한 이론적 이해 25
제1절 불안의 정의 27
제2절 개인 차원 불안과 환경 32
제3절 불안의 영향과 불안에 대한 대응 49
제3장 사회적 불안의 정의와 질적 분석 구조화 57
제1절 사회적 불안에 대한 정의 59
제2절 연구 문제와 질적 분석 설계 82
제4장 사회적 불안에 대한 온라인 빅데이터 분석
: 사회적 불안의 변화와 시사점 91
제1절 분석 방법 93
제2절 사회적 불안 연관어 분석 결과 100
제3절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115
제5장 사회적 불안에 대한 질적 분석 1
: 불안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139
제1절 분석 목적과 분석 방법 141
제2절 불안과 생활 만족 수준에 따른 불안 경험 143
제3절 불안 경험 유형 176
제4절 소결 197
제6장 사회적 불안에 대한 질적 분석 2
: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불안의 요소 분석 217
제1절 분석 방법 219
제2절 불안 유형 220
제3절 불안의 기저 원인 229
제4절 불안 대처·대응 238
제5절 소결: 사회적 불안의 구조 246
제7장 결론: 주요 결과의 해석과 정책적 함의 251
제1절 주요 분석 결과 253
제2절 정책적 함의 261
제3절 관련 설문조사에 대한 함의 262
참고문헌 265
부록: 면접 조사 가이드 27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9-31
ISBN
9788968276477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7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