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미치는 영향요인: 읍면동 복지허브 모형 간 차이를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Alleviation of Welfare Blind Spots: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Welfare Hub Models

제목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미치는 영향요인: 읍면동 복지허브 모형 간 차이를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Alleviation of Welfare Blind Spots: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Welfare Hub Models
저자

이영글 ; 박성준 ; 함영진

키워드
민관협력 ; 복지사각지대 발굴 ; 사회서비스 ; 읍면동 복지허브화 ;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 policy ; private-public partnership ; social service ; welfare blind spot
발행연도
2019-03-31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인용정보
사회복지정책, vol. 46, no. 1, pp. 135 - 159
초록
지방화의 진전과 함께 지역복지의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민관협력의 중요성이 강 조되고 있다. 이러한 바탕에서 시작된 읍면동 복지허브화는 공공이 중심이 되어 읍면동의 복지사 각지대 해소와 사례관리 및 찾아가는 상담 수행을 핵심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민간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공공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복지전달을 도모하 고 있다.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전국적인 확대 및 정착이 완료되어 가면서 이에 대한 다양한 평가 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한 검토와 개선방안의 논의는 부족하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읍면동의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읍 면동 복지허브화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1월부터 6월 말 까지 취합된 전국의 읍면동 복지허브화 실적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종속변수인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 시군구 특성, 읍면동 특성, 복지허브 특성, 민관협력 수준 등 이 연구모형에 포함되었다.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관계는 음이항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로서 읍면동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읍면동의 복지전담인력 수가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민관협력 인적안전망 규모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Fulltext
https://doi.org/10.15855/swp.2019.46.1.135
ISSN
1598-7663
DOI
10.15855/swp.2019.46.1.135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