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강증진개발원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평가를 위한 건강기여도 산출 ·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의 적절성 분석 · 각 중점과제별 사업 및 성과지표의 타당성 및 효과성 분석 · 건강정책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건강기여도 평가 · 성과지표의 타당성 및 효과성 분석 · 대표지표 및 성과지표 평가방안 마련 · 다분야 전문가 및 민간과의 협의체 구성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
제2장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대표지표, 성과지표 평가방안 11 제1절 배경 및 필요성 13 제2절 주요국의 건강증진종합계획 대표지표, 성과지표 평가 사례 15 제3절 전문가 대상 대표지표, 성과지표 평가 설문 결과 48 제4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성과지표 평가방안 69 제5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대표지표 평가방안 122
제3장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내 건강문제 우선순위 선정 129 제1절 배경 및 필요성 131 제2절 주요국의 건강증진종합계획 건강문제 우선순위 선정 사례 133 제3절 건강문제 우선순위 선정 방법 149
제4장 지방자치단체에서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성과지표 활용방안 167 제1절 배경 및 필요성 169 제2절 외국의 건강증진사업 성과지표 활용 사례 170 제3절 지자체에서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성과지표 활용 장애 요인 182 제4절 지자체에서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성과지표 활용 방향 194
제5장 결론 197 제1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대표지표, 성과지표 평가방안 199 제2절 HP 건강문제 우선순위 및 건강기여도 평가 209 제3절 지자체에서의 HP 성과지표 활용방안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