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 The 2018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ontributor.author박종서
dc.contributor.author변수정
dc.contributor.author오미애
dc.contributor.author이상림
dc.contributor.author이지혜
dc.date.accessioned2019-06-05T06:34:50Z
dc.date.available2019-06-05T06:34:50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isbn978-89-6827-561-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2628
dc.description.abstract‘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는 15~49세 기혼 여성의 결혼, 출산, 양육 행태와 20~44세 미혼 남녀의 결혼·출산 관련 가치관과 태도를 조사하여 분석한 것이다. 이 조사 결과는 결혼, 출산, 양육 현황과 추이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술 연구뿐만 아니라 관련 정책 개선을 위한 근거 자료로 중요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the early 1970s,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has conducted the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every three years . The 2018 Survey was conducted of about 11,200 ever-married women aged 15~49 and 2,500 never-married men and women aged 20~44 residing households in the enumeration districts for 2016 Register-based Census(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The survey items were focused on behaviors, personal value, and thought regarding marriage, pregnancy, childbirth, child care of different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group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attitude toward marriage was negative among single men and, to a greater extent, among single women. Seventeen percent of ever-married women showed indifferent attitude about having a child. Such attitude was more pervasive in single persons: 30 percent for single men and 48 percent for single women. The reasons answered by the ever-married women for wanting no child were “no hope for future society”, “burden for education of child”, “incompatibility between work and life”, etc. The average ideal number of children among married women was 2.16, and the planned number of children was 2.00. However, the average expected number of children was 1.92, and the actual number of children was 1.75. The difference among the average ideal number, expected number, and actual number of children has i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expected to be of use not only for academic purposes but also in the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related polic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부 도입부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제3절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의의 19 제2장 표본 설계 및 추정 방법 27 제1절 표본 설계 27 제2절 가중치 41 제2부 기혼 여성 대상 조사 결과 제3장 조사 응답자의 일반 특성 45 제1절 기혼 여성의 일반 특성 45 제2절 기혼 여성의 경제 상황 47 제3절 기혼 여성의 주거 실태 54 제4장 결혼 65 제1절 결혼 전 주거 독립 경험 65 제2절 결혼에 관한 태도 70 제3절 결혼 과정 및 결혼 이력 89 제4절 결혼비용과 주거비 부담 95 제5장 임신 및 출산 103 제1절 자녀 출산에 대한 태도 103 제2절 임신 124 제3절 자녀 출산 149 제6장 산전?산후관리 165 제1절 산전관리 165 제2절 분만 169 제3절 산후관리 174 제4절 수유 181 제7장 자녀 양육 187 제1절 육아?가사 분담과 성 역할 인식 187 제2절 취학 전 자녀에 대한 돌봄 203 제3절 초등학교 재학 자녀에 대한 돌봄 217 제4절 자녀 양육비 230 제8장 일?가정양립 237 제1절 경력단절 237 제2절 출산전후휴가?육아휴직 사용 246 제3절 일·가정양립 관련 태도 254 제4절 취업 의향 265 제5절 일 형태와 자녀 출산에 대한 태도 270 제9장 결혼 및 출산 관련 정책 273 제1절 저출산 현상에 대한 인식과 정책의 필요성 273 제2절 결혼 및 출산 관련 정책 욕구 278 제3절 결혼 및 출산 관련 정책에 대한 평가 281 제3부 미혼 남녀 대상 조사 결과 제10장 조사 응답자의 일반 특성 289 제1절 미혼 남녀의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 289 제2절 미혼 남녀의 주거 특성 291 제3절 미혼 남녀의 경제적 특성 295 제11장 이성교제 및 결혼 301 제1절 이성교제 301 제2절 결혼에 대한 태도 313 제12장 자녀 및 가족에 대한 태도 331 제1절 자녀에 대한 태도 331 제2절 가족에 대한 태도 351 제13장 결혼 및 출산 관련 정책 387 제1절 저출산 현상에 대한 인식과 정책의 필요성 387 제2절 결혼 및 출산 관련 정책 욕구 395 제4부 결론부 제14장 결론 431 제1절 요약 431 제2절 제언 442 참고문헌 451 부 록 453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dc.title.alternativeThe 2018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결혼
dc.subject.keyword출산
dc.subject.keyword양육
dc.subject.keyword일·가정 양립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은정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종서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변수정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미애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상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지혜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8-37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8-37
dc.type.research정책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dc.subject.kihasa인구변화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