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국민건강정책의 건강영향평가 = Health Impact Assessment for Public Health Policy

제목
국민건강정책의 건강영향평가 = Health Impact Assessment for Public Health Policy
저자

정영호 ; 고숙자 ; 배정은

키워드
건강영향평가 ; 건강위험도평가 ; 치매친화마을 ; 건강정책
발행연도
2018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건강영향평가의 개념을 정리하고, 국내외 건강영향평가 사례 제시, 그리고 건강영향평가의 주요 대상이 되는 건강결정요인의 항목을 정리하고, 예방가능사망률 및 회피가능사망률 지표를 산출하여 건강격차 현황을 분석하였다. 지역별로 예방가능사망률 및 회피가능사망률을 비교함으로써 건강증진사업을 더욱 지원, 강화할 필요성이 있는 지역을 검토하였다.
일반화된 선형혼합모형을 적용한 위험평가모형을 제시하였고, 치매에 적용하여 지역별로 치매에 대한 건강위험평가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치매를 건강영향평가의 대상으로 삼고, 치매국가 책임제의 실행 전략 중 하나인 치매친화마을(치매안심마을)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방안으로, 치매친화마을의 정책 평가 도구를 제공하고, 치매친화마을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health impact assessment in Korea is carried out through the hygiene and public health item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This process is not an analysis of the overall factors affecting health, but rather an assessment of the health of a particular population, focusing on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project on the local population on environmental hazards.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me cases where health impact assessment can contribute to national health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Case stud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health impact assessment.
- Health gap and national health policy analysis.
- Health risk assessment analysis: focusing on dementia.
- Health Impact Assessment of Dementia-Friendly Community.
- Presenting future roadmap, infrastructure, and governance for health impact assessment
In chapter 2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health impact assessment is summarized through precedent research, cases of domestic health impact assessment pilot project, and cases of overseas health impact assessment institution are presented.
Chapter 3 summarizes the items of health determinants, which are the main subjects of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analyzes the status of health disparities by calculating preventable mortality and avoidable mortality indices. By comparing preventable mortality and avoidable mortality by region, we reviewed areas where there is a need to further support and strengthen health promotion projects. 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of health policies are presented.
Chapter 4 outlines the procedures for the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reviews priorities. In this study, a risk assessment model using a generalized linear mixture model is presented. This model was applied to dementia, and the results of health risk assessment analysis for dementia by region were presented.
In Chapter 5, dementia is considered as a target of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a health impact assessment method for dementia-friendly community, which is one of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is suggested. We provided a policy evaluation tool for dementia-friendly community and presented the policy tasks for dementia-friendly community.
Finally, in the conclusion section, we set up policy issues and roadmap for future health impact assessment.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국내외 건강영향평가 현황 17
제1절 건강영향평가의 정의 및 목적 19
제2절 국내 건강영향평가의 추진 경과 23
제3절 외국의 건강영향평가 제도 및 관련 연구 현황 32
제3장 건강 스크리닝 및 건강정책 현황 분석 37
제1절 건강 스크리닝 40
제2절 우리나라 건강증진사업 현황 59
제4장 건강영향평가 체계 및 건강위험평가모형 79
제1절 국내 영향평가 사례 81
제2절 건강영향평가 절차 및 사례 85
제3절 건강 문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101
제4절 건강위험평가모형 105
제5장 치매친화마을의 건강영향평가 111
제1절 건강영향평가 대상 선정 114
제2절 치매친화마을정책의 건강영향평가 분석 방법 117
제3절 치매친화마을 모형 및 평가 체계 124
제6장 건강영향평가의 적용 방향과 정책과제 131
제1절 건강영향평가를 위한 정책과제 133
제2절 건강영향평가의 제도 도입 방안 139
참고문헌 14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8-27
ISBN
978-89-6827-551-7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보건의료 > 건강친화적 환경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