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연결망 기반의 중독 회복 지원 방안 = Exploring social networks in recovery from addict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전진아
dc.contributor.author오미애
dc.contributor.author이난희
dc.contributor.author이용주
dc.contributor.author김낭희
dc.date.accessioned2019-06-05T06:34:41Z
dc.date.available2019-06-05T06:34:4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isbn978-89-6827-549-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26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알코올 중독을 중심으로 사회연결망 기반의 중독 회복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질적면담을 통해 알코올 중독 회복자와 보호자의 중독 및 회복 과정에 대한 경험에서 드러난 사회연결망을 파악하였으며, 양적 설문조사를 통해 알코올 중독 회복 서비스 제공자가 가지는 사회연결망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와 전문가 의견 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에 기반을 둔 회복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of alcoholics, caregivers, and service providers for addiction recovery and explore ways to promote the recovery from the alcohol problems. This study describes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 alcohol addiction, and recovery. Also, by using both qualitative interviews and quantitative survey methods, the status of social networks of alcoholics, caregivers, and service providers are identified, and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positive social networks for the addiction recovery journey are suggested.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interviews with alcoholics and their caregivers show that alcoholics are affected by family members, workplace colleagues, treatment institutions, community organization, and fellow alcoholics. In addition, community-based resources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the recovery are found to be interconnect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strategies. It emphasizes to strengthen self-facing programs, to develop and provide education to prevent and recover from addiction, to strengthen infrastructure to prevent and recover from addiction, and to explore ways to strengthen social networks of service providers for better collabor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 내용 10 제3절 연구 방법 11 제2장 사회연결망 기반 중독 회복 지원에 대한 개념 이해 29 제1절 주요 개념 이해 31 제2절 선행연구 고찰 37 제3장 국내외 중독 회복 지원 체계 검토 47 제1절 국내 중독 회복 지원 체계 검토 49 제2절 해외 중독 회복 지원 체계 검토: 호주를 중심으로 59 제3절 소결 82 제4장 중독자와 보호자의 사회연결망 85 제1절 국내 중독자 규모 87 제2절 중독자와 보호자에게서 나타난 중독자의 특성 90 제3절 중독 및 회복 과정과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경험 96 제4절 소결 167 제5장 중독 회복 지원 서비스 제공자의 사회연결망 173 제1절 중독 회복 지원 서비스 자원 분석 175 제2절 중독 회복 지원 서비스 제공자의 특성 180 제3절 중독 회복 지원 서비스 제공자가 가지는 사회연결망 189 제4절 소결 203 제6장 사회연결망 기반 중독 회복 지원 방안 205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207 제2절 사회연결망 기반 중독 회복 지원 방안 210 제3절 연구의 함의 및 기대 효과 220 참고문헌 225 부 록 235 부록 1. 클러스터별 지역 235 부록 2. 알코올 중독자 일반적 특성(2016년) 237 부록 3. 실무자 조사표 2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연결망 기반의 중독 회복 지원 방안
dc.title.alternativeExploring social networks in recovery from addiction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연결망
dc.subject.keyword중독
dc.subject.keyword회복
dc.subject.keywordsubstance abuse & dependence
dc.subject.keywordrecovery
dc.subject.keywordsocial network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전진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미애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난희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8-25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8-25
dc.type.research정책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kihasa건강증진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