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청년층의 주거특성과 결혼 간의 연관성 연구 = Housing Characteristics and Marriage Intentions among the Never-Married in Korea

제목
청년층의 주거특성과 결혼 간의 연관성 연구 = Housing Characteristics and Marriage Intentions among the Never-Married in Korea
저자

변수정조성호 ; 이지혜

키워드
미혼 청년 ; 주거 특성 ; 결혼
발행연도
2018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최근 청년들이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여러 가지 이유 중 하나로 주거 마련의 어려움이 지적되고 있다. 결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주거문제는 특히 개인적인 노력으로 해결이 어려운 현실이기 때문에 결혼을 하고자 하는 인구에 대해서는 지원을 통해 결혼이행이 쉬워지도록 돕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혼 청년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주거 실태를 파악하고, 현재 및 향후 결혼 시 마련하고자 하는 주거 특성과 결혼 의향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결혼을 하고자 하는 미혼 청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주거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dequate housing is a basic human right and an important determinant of quality of life. Recently, young people in Korea tend to postpone or give up marriage because of housing issues. Little research, however, had documen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housing and marri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real situations of current housing among young single people and also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housing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marriage intentions of young single adults. And it seeks to identify differences in gender, living regions, economic status in terms of relationships between housing characteristics and marriage intentions. By doing so, the finding of this study will help suggests directions of policies to improve the housing conditions for young people who want to get married.
For the study, we conduct online survey of unmarried people’s real current housing situations and their needs of future house they will prepare when they get married and of housing policies.
The study finds that many of young people have marriage intentions. Of course, burden from cost for current housing is related to marriage intentions among young people. However, conditions of housing for marriage are more associated with marriage intentions of young people. And we also figure out thos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current or future housing and marriage intentions varies by gender, regions, and economic status.
Finally, this study provide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housing policies for young people. In particular, providing policy and programs targeted at and tailored for young people who have marriage intention but cannot get married because of conditions could help get rid of barriers to marriage. Further, government needs to provide housing supports with more diverse method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청년 주거 지원 정책 21
제1절 선행연구 검토 23
제2절 청년의 주거 및 결혼 관련 현황 변화 44
제3절 청년 주거 지원 정책 현황 66
제3장 미혼 청년의 결혼 의향 및 결혼 조건에 대한 태도 81
제1절 미혼 청년의 결혼 의향과 미혼 이유 83
제2절 미혼 청년의 결혼 조건에 대한 태도 91
제3절 소결 102
제4장 미혼 청년의 현재 주거 실태와 결혼 시 희망 주거특성 105
제1절 미혼 청년의 현재 주거 실태 107
제2절 미혼 청년의 결혼 시 희망 주거특성 129
제3절 소결 189
제5장 미혼 청년의 주거 지원 정책 관련 인지와 욕구 195
제1절 주택공급방식 주거 지원 정책 관련 인지와 욕구 197
제2절 금융 지원 방식 주거 지원 정책 관련 인지와 욕구 210
제3절 주거 지원 정책과 결혼 221
제4절 소결 230
제6장 미혼 청년의 주거특성과 결혼의 연관성 분석 233
제1절 기술통계 및 전체 분석 결과 236
제2절 성별 분석 결과 242
제3절 지역별 분석 결과 244
제4절 경제수준별 분석 결과 247
제5절 소결 250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55
제1절 결론 257
제2절 정책적 제언 269
참고문헌 277
부 록 28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8-23
ISBN
978-89-6827-547-0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9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