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중국의 신(新) 도시빈곤과 최저생활보장제도 = New Urban Poverty and the Minimum Living Standard Guarantee Scheme in Chin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조흥식
dc.contributor.author김병철
dc.date.accessioned2019-05-22T07:21:33Z
dc.date.available2019-05-22T07:21:33Z
dc.date.issued2008-01-31
dc.identifier.issn1226-052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2470
dc.description.abstract본 글은 중국의 개혁·개방을 기점으로 중국 도시 지역의 대량 실업에 의해 발생된 도시 신 빈곤층에 대한 최저생활보장제도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중국은 1970년 말의 개혁·개방정책 이후
dc.description.abstract농촌에서부터 경제체제 개혁을 시작하여 계속 도시에서도 경제체제 개혁을 전개하였다. 도시 경제체제 개혁의 핵심은 국영(國營)기업 체제의 개혁이었다. 특히
dc.description.abstract정부는 대대적인 국영기업의 구조조정을 꾀하였고 중국 특유의 하강(下崗)정책 과정에서 국영기업 노동자들의 대량 실업은 불가피하였다. 정부는 도시 실업 노동자들을 위해 재취업 교육 및 실업수당을 제공하였으나 정책 실행의 한계로 말미암아 이들은 점차 빈곤해졌다. 더욱이 이들 실업 노동자들은 중국의 계획경제 시기의 전통적인 도시 빈민인 '3무(三無)'계층과 달리 기존의 공공부조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사실상 중국 도시 지역의 신(新) 빈곤층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최종적인 사회안전망의 제도로서 최저생활보장제도를 1993년에 처음으로 상하이시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하여 1997년 전국 도시지역으로 확대 적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개혁·개방 이후 중국 도시지역의 최저생활보장제도의 특징을 요약해서 말하면
dc.description.abstract기존 사회주의하의 광범위한 국가 사회보장정책에서 벗어나 시장주의 경제구조 하에서 발생한 대량 실업으로 인한 도시 지역의 신 빈곤층을 구제함으로써 사회 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사회안전망 역할을 달성하는 것을 근간으로 하는 잔여적인 복지정책이라 할 수 있다.
dc.format.extent3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사회정책학회
dc.title중국의 신(新) 도시빈곤과 최저생활보장제도
dc.title.alternativeNew Urban Poverty and the Minimum Living Standard Guarantee Scheme in Chin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subject.keyword국영기업
dc.subject.keyword기업
dc.subject.keyword구조조정
dc.subject.keyword하강
dc.subject.keyword노동자
dc.subject.keyword실업
dc.subject.keyword도시
dc.subject.keyword
dc.subject.keyword빈곤
dc.subject.keyword최저생활보장제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흥식
dc.identifier.doi10.17000/kspr.14.2.200801.312
dc.identifier.urlhttps://doi.org/10.17000/kspr.14.2.200801.312
dc.identifier.localIdKIHASA-2519
dc.citation.title한국사회정책
dc.citation.volume14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08
dc.citation.startPage312
dc.citation.endPage34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사회정책, vol. 14, no. 2, pp. 312 - 344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