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부담 구조 변화와 대응방안 연구 = Changes in Double Care Burden in Korean Families with Middle-aged and Older Heads: Policy Implications

제목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부담 구조 변화와 대응방안 연구 = Changes in Double Care Burden in Korean Families with Middle-aged and Older Heads: Policy Implications
저자

김유경 ; 이진숙 ; 손서희 ; 조성호 ; 박신아

키워드
중‧장년층 가족 ; 이중부양 및 이중부양 부담 ; 미혼 성인자녀 부양 ; 노부모 부양
발행연도
2018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고령 인구의 확대와 만혼화·비혼화에 따른 성인기 자녀의 독립지체는 중·장년층 돌봄 수요의 증가를 야기한다. 이에 중·장년층은 본인의 노후뿐 아니라 성인기 자녀와 노부모에 대한 이중부양 부담으로 경제적 부담이 상당히 높은 세대다. 불안정한 고용환경과 사회안전망이 부재한 상황에서 중·장년층의 이중부양부담 구조는 많은 사회적 비용 부담을 초래하므로 중ㆍ장년층가족의 지속가능한 유지ㆍ발전을 위해 균형 있는 가족부양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ㆍ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부담 증가에 대비하여 중ㆍ장년층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이중부양부담 구조의 변화를 분석하고 전망하여 중ㆍ장년층 가족의 균형 있는 가족부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In South Korea,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care among middle-aged famili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lag in socioeconomic independence of unmarried younger generations.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iddle-aged families, they bear the double care burden of their elderly parents and unmarried adult children. The middle-aged generations may face unstable employment and experience financial hardships. However, the social support system is insufficient and the existing policies inadequately reflect structural problems and needs of middle-aged families. In addition, the lack of social safety nets for middle-aged families may contribute to the potential poverty, financial insecurity, and family conflicts and disintegration, resulting in a social cost burden. In order to reduce social costs, adequate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establish a balanced family support system for middle-aged families. Therefore, this seek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characteristics and care burdens of middle-aged families and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alleviating the double care burden of middle-aged families.
In this study, we suggests both economic and non-economic support for middle-aged families. Economic support is needed to activate the work market participation support system, preserve the income of the unemployed, strengthen the employment and start-up program, find ways to recognize credit for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activate the housing pension system. Non-economic support should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a compensation system for dual care, the provision of integrated services for double care, and the reinforcement of balanced support for dual care and work, as well as the reinforcement of mental health support services. An integrated adult access support policy should be prepared with economic support for adult children. Jobs and housing stabilization measures for adult children should also be considered. Non-economic support should seek a self-reliant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aged and adult children, and provide emotional support between generations. The economic support of the elderly parents is needed to strengthen the public income support system, strengthen the income base through the job business for senior citizens, change the culture of supporting the elderly, and establish an old safety net. Non-economic support requires mutual support by establishing a shared structure between projects by type of support and improving the exchange of generations between the middle aged and elderly parent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2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5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8
제2장 이론적 배경 37
제1절 중·장년층 및 가족의 개념과 범위 39
제2절 부양 및 이중부양의 개념과 유형 45
제3절 이중부양 관련 이론 61
제4절 이중부양 관련 선행연구 72
제3장 중·장년층 가족의 부양 환경 및 특성 77
제1절 중·장년층 가족의 부양 환경 진단 79
제2절 중·장년층의 특성 106
제3절 시사점 124
제4장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구조 변화 분석 129
제1절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분포 및 특성 변화 추이 132
제2절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유형별 변화 추이 및 실태 144
제3절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부담이 가구에 미치는 영향 177
제4절 중·장년층 가족의 정책 욕구 227
제5절 시사점 231
제5장 국내외 이중부양 관련 제도 및 정책 사례 비교 분석 239
제1절 국내외 제도 및 정책 사례 비교 분석의 틀 241
제2절 국내 이중부양 관련 정책 245
제3절 국외 이중부양 관련 정책 272
제4절 시사점 289
제6장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구조 전망과 정책 함의 297
제1절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환경 변화 전망 299
제2절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구조 변화 전망 325
제3절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구조 전망을 통한 정책 함의 356
제7장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부담 해소를 위한 대응방안 359
제1절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부담 해소를 위한 정책 방향 361
제2절 중·장년층 대상의 이중부양 부담 해소 방안 363
제3절 성인자녀 대상의 이중부양 부담 해소 방안 373
제4절 노부모 대상의 이중부양 부담 해소 방안 379
참고문헌 387
부 록 41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8-14
ISBN
9788968275395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정책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