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동아시아 국제사회조사 참여 및 국제비교 연구: 문화와 세계화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상림
dc.contributor.author최인선
dc.contributor.author노현주
dc.contributor.author김석호
dc.contributor.author주윤정
dc.contributor.author조원광
dc.contributor.author차은지
dc.contributor.author이상지
dc.contributor.author김지윤
dc.contributor.author조하영
dc.contributor.author임동균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ontributor.author박효민
dc.date.accessioned2019-01-08T16:30:22Z
dc.date.available2019-01-08T16:30:2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isbn979-11-5567-276-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0988
dc.description.abstract한국, 일본, 중국, 대만의 동아시아 국가의 네 나라는 지리적으로 근접하여 역사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어왔지만 유사성 못지않게 차이도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 네 나라가 동아시아라는 하나의 사회문화적 클러스터라는 동질성과 동시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는 일환으로 네 나라에 동일한 문항을 가지고 사회조사를 실시하였다. 2018년 사회조사는 문화와 세계화를 주제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본 보고서에서는 한국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가치관, 종교, 민속신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살펴보았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문화적 보편성으로는 유교질서인 개인 간 사회적 관계에 초점을 둔 윤리적 서열화와 조직화, 개인의 내적 도덕성과 수양에 초점을 둔 심리적 통제 규범, 유교적 의례와 윤리 철학에서의 도교, 불교, 민속신앙의 영향 등이 있다. 반면 근대화, 경제 발전 정도, 정치체제 등의 영향에 따라 세 국가의 유교, 가치관, 민속신앙 양상이 각기 다르게 변화하는 점을 동아시아의 특수성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유교 문화권으로써 동아시아 개념은 성립하기 어려우며, ‘동아시아’라는 공통된 정체성과 가치관을 가진 공동체로 형성하기 위해 미래적 관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2장에서는 세계화와 이주로 야기되는 문화적 변화에 주목했다. 세계화, 이주, 문화와 관련된 현상과 이론, 그리고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사유와 정책을 검토했다. 세계화 이후 문화는 다층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세계화로 인한 인구 접촉의 증가로 갈등을 야기하고 다문화주의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새로운 보편성의 창출이 강조된다. 새로운 보편성은 인류의 공통된 위기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형성되고 상호 연결성의 인식으로 가능해진다. 또한 다문화 주의의 문제의식 속에서 문화다양성이 등장했으며, 이에 대해 국내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사회적 포용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문화다양성이 활용되고 있다. 3장에서는 가족, 소속 집단, 전통신앙에 대한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에 때해 살펴보았다. 가족과 관련된 가치관에서는 남성 가장을 우선하는 태도가 감소하였고, 개인보다 가족을 우선하는 태도가 감소하였다. 반면 가족의 안녕과 이해를 우선해야 한다는 의견이나 아버지 권위를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부정적 변화가 감지되지만, 여전히 전체적으로는 긍정적 태도가 우세하였다. 소속 집단에 대한 가치관에서는 집단 순응성과 내집단 우선성, 그리고 위계에 대한 복종 경향 모두 2008년과 2018년 사이에 감소하였다. 내집단 우선성이 공정성을 저해하거나 타인에게 뚜렷한 피해를 입힐 경우에는 억제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긍정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위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었다. 전통 신앙의 경우,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유일하게 가족구성원 묘지 방문만이 여전히 넓은 범위에서 실천되는 의례이다. 4장 한국사회의 세계화 모습을 살펴보았다. 미디어컨텐츠 이용에 있어서는 중국영화에 대한 소비율은 감소하였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본애니메이션 소비가 증가하였다. 국제문제에 관해서는 관심도 자체는 2008년도와 비교하여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국제문제 뉴스를 접하는 매체는 크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 텔레비전 등의 매체 영향력이 감소하고, 인터넷, 사회연결망 서비스의 중요도가 올라갔다. 전반적인 영어 활용능력은 2008년에 비해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전히 낮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5장 이주와 문화의 확산에 대한 태도를 여행경험, 외국인 지인의 유무, 외국인 수용 의향,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 이민자의 증가와 감소에 대한 의견, 국수주의적 태도, 세계화의 흐름에 대한 인식이라는 다양한 문항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외국 여행을 통해 외국문화에 노출되는 경험과 외국인과 알고 지내면서 문화 교류를 하고 있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외국인의 국적과 상관없이 응답자는 동네이웃으로 외국인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가까운 친척으로 외국인을 수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률은 큰 폭으로 낮아지는 경향이 보였다. 지난 10년간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결혼이민자에 대해 판단을 유보하면서 현 수준을 유지하기를 바란다는 응답이 크게 증가하였다. 국수주의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응답 비율이 지난 10년 동안 감소하였다. 세계화가 한국 경제와 한국 노동자의 일자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3 제2절 조사의 설계 7 1. EASS의 조직 체계 7 2. EASS 2008년과 2018년 조사내용 7 Ⅱ. 동아시아 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 가치관과 종교를 중심으로 11 제1절 ‘동아시아의 문화’의 가능성 13 제2절 동아시아의 가치관과 종교: 보편성 15 1. 세계 문화권 구분에 있어 동아시아의 위치 15 2. 유교의 문제 19 가. 유교적 문화권에서 유교의 기능: 서열화와 조직화 19 나. 개인의 내적 욕구 통제 체계 22 다. ‘유교 문화권’이라는 설명이 가지는 문제들 25 3. 기타 요소들 26 가. 불교, 도교, 애니미즘 등의 영향 26 나. 민족개념 27 제3절 동아시아의 가치관과 종교: 특수성과 차별성 28 1. 유교의 문제 28 가. 유교의 영향력의 강도 28 나. 가족주의와 가치관의 문제 31 2. 기타 종교와 민속신앙 33 제4절 소 결 36 Ⅲ. 동아시아의 세계화, 이주 그리고 문화 39 제1절 서 론 41 제2절 세계화와 이주 : 인구이동으로 인한 물리적 접촉 43 1. 이주와 문화의 변화 43 가. 다문화 사회의 도래 43 나. 다문화주의의 등장 44 2. 다문화주의의 비판과 혐오 47 가. 다문화주의의 위기 47 나. 혐오의 증가와 신인종주의 49 제3절 세계화와 미디어: 자본과 미디어를 매개로 한 매체적 접촉 52 1. 문화제국주의와 문화혼종성 52 2. 동아시아의 문화접촉과 인터넷 민족주의 55 제4절 세계시민주의와 문화다양성 57 1. 세계시민주의 58 2. 문화다양성과 사회적 포용 60 제5절 소 결 62 Ⅳ. 가족과 소속 집단 그리고 전통신앙에 대한 한국인의 가치관과 문화 65 제1절 가치관과 문화의 영향 67 제2절 가치관 범주별 문항과 분석 방법 69 1. 가족에 대한 가치관 69 2. 소속집단에 대한 가치관 70 3. 전통신앙에 대한 가치관 71 제3절 가족에 대한 가치관의 특징과 변화 72 1. 남성 가장 중심성에 대한 인식 72 2. 가족의 우선성에 대한 태도 77 제4절 소속 집단에 대한 가치관의 특징과 변화 83 1. 집단에 대한 순응성 84 2. 내집단 우선성 86 3. 위계에 대한 태도 90 제5절 전통 신앙에 대한 가치관 95 제6절 가치관 특징과 변화의 정책적 함의 99 Ⅴ. 문화교류와 세계화 103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05 제2절 자료 분석 결과 107 1. 미디어 컨텐츠 이용 107 가. 일본 애니메이션 108 나. 중국 영화 109 다. 한국 드라마 111 2. 국제문제 112 가. 국제문제관심도 112 나. 국제뉴스를 접하는 매체 114 3. 영어 활용능력 123 가. 전반적 영어 활용능력 123 나. 읽기 127 다. 말하기 128 라. 쓰기 129 4. 해외 교육 훈련 경험 130 제3절 소결 132 1. 한국사회 세계화의 모습 132 2. 정책적 제언 133 Ⅵ. 이주와 문화의 확산 135 제1절 서론 137 1. 문제제기 137 2. 분석 변수에 대한 설명 및 응답 조정 139 제2절 주요 분석 결과 141 1. 문화 노출 경험과 문화적 접촉 현황 141 가. 여행 경험 여부로 살펴본 문화 노출 경험 141 나. 알고 지내는 외국인 유무로 살펴본 문화 접촉 현황 142 2. 외국인 지위별 수용 의향 144 3. 한국 내 적정 외국인 규모 149 4. 국수주의적 인식 153 5. 세계화의 영향에 대한 인식 157 제3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161 Ⅶ. 결론 165 참고문헌 1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
dc.languagekor
dc.publisher경제⋅인문사회연구회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title동아시아 국제사회조사 참여 및 국제비교 연구: 문화와 세계화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세계화
dc.subject.keyword이주
dc.subject.keyword종교
dc.subject.keyword문화
dc.subject.keyword동아시아 사회조사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상림
dc.type.other정책보고서
dc.identifier.urlhttps://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0008&act=view&list_no=0&otp_id=OTP_0000000000001626
dc.identifier.localId정책보고서 2018-40
dc.subject.kihasa국제사회보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