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청년층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계층이동 가능성영향요인 변화 분석 = Changes in Influence Factors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Class Mobility Possibility of the Youth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용관
dc.date.accessioned2019-01-07T07:16:01Z
dc.date.available2019-01-07T07:16:01Z
dc.date.created2018-12-31
dc.date.issued2018-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0964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계층구조가 견고해고 개인의 노력으로 계층이동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논의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계층의 형성 및 변화 양상을 분석한 연구는 일부 직업 이동 및 소득계층 변동을 관찰하는데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사회조사 2개년(2013년, 2017년)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층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계층이동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한다. 분석 결과, 청년층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개인과 가구(부모)의 특성뿐만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 자원의 크기와 활동에도 영향을 받으며, 특히 소득 및 거주형태 등 경제적 자원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청년층(특히 가구소득이 낮은 청년층)의 계층이동 가능성은 낮아지고, 이에 대한 가구(부모)의 소득과 자산의 영향력은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노동시장에 진입한 청년층의 계층이동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이들의 취업 준비 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들은 우리 사회의 계층구조가 고착화되고 개인의 노력에 의한 계층이동 사다리가 약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회 불평등 해소하기 위해서는 계층 간 경제적 격차를 축소시키는 노력과 함께 사회문화 자원을 확충시키는 활동이 동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re has been a growing debate about the difficulty of class mobility by individual effort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influence factors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class mobility possibility of youth using social survey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is result shows that not only economic capital but also cultural and social capital are strong factors in determining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Specially, the influence of parents' economic resources on the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s increasing. The class mobility possibility of youth is decreasing, and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parents or households tends to increase. In addition, when they are employed, the class mobility possibility tends to be low, which suggests that the job preparation and search period of young people is getting long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lass structure of our society is fixed and the class mobility of individual effort is weakening. It also suggests that activities to reduce social inequality should be accompanied by activities to reduce the economic gap and to reduce social and cultural capital gaps.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n error occurred on the license name.
dc.rights.uriAn error occurred getting the license - uri.
dc.title청년층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계층이동 가능성영향요인 변화 분석
dc.title.alternativeChanges in Influence Factors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Class Mobility Possibility of the Youth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청년층
dc.subject.keyword주관적 계층의식
dc.subject.keyword계층이동 가능성
dc.subject.keyword불평등
dc.subject.keywordYouth
dc.subject.keyword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dc.subject.keywordClass Mobility Possibility
dc.subject.keywordInequality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8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18-12-31
dc.citation.startPage465
dc.citation.endPage49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4호, pp.465-49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8 No.4, pp.465-491
dc.date.dateaccepted2019-01-07T07:16:01Z
dc.date.datesubmitted2019-01-07T07:16:01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