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청년빈곤의 다차원적 특성 분석과 정책대응 방안 =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Youth Poverty and Policy Implications

제목
청년빈곤의 다차원적 특성 분석과 정책대응 방안 =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Youth Poverty and Policy Implications
저자

김문길김태완임완섭정은희 ; 김재호 ; 안주영 ; 김성아 ; 이주미 ; 정희선 ; 최준영

키워드
청년빈곤 ; 다차원적 빈곤 ; 청년정책
발행연도
2017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청년실업률, 청년고용률, 청년가구소득 증가율 등 청년의 노동시장 및 경제적 성과를 보여주는 지표들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거나 계속 악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청년들의 빈곤문제는 사회적으로 정책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소득으로 측정되는 빈곤율이 다른 세대에 비해 높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소득빈곤율만으로는 오늘날 우리나라 청년들의 현실을 대표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서 청년빈곤의 다차원적 접근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보고서는 소득, 지출, 자산, 주거, 시간사용과 관련한 청년들의 빈곤실태와 동태를 다양한 가구유형으로 구분해서 살펴보고 다차원적 접근을 통해 다차원 빈곤율을 산출함으로써 하나의 지수로 청년의 다차원적 빈곤상황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같은 분석결과가 정책적으로 함의하는 바를 살펴보고 정책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Young people of Korea are known to have lower labor market performance compared to their higher education level. The rising youth unemployment rate and the proportion of low-wage worker make the income situation of young people more difficult. These difficulties are common to young people in major OECD countries. In particular, the recent economic recession has a great impact on the jobs and income of th younger generation, and this has resulted in emerging as a poverty risk group that replaces older generations.
Young people of Korea still have a lower poverty rate than other age groups, but in light of the labor market situation, youth poverty may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overty situation of Korean young people more deeply and to call attention to the policy interest.
This study start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is intende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we analyze the dynamics of poverty and economic activities of Korean youth. Next, we analyze income poverty, housing poverty and time use behavior of Korean youth by various types. Through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poverty, we analyze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characteristics of Korean youth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from those of income poverty. Finally, the direction of future youth policies are presented.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구성과 방법 16
제2장 이론적 배경 21
제1절 청년의 정의 23
제2절 빈곤 일반론 30
제3절 다차원 빈곤 41
제3장 우리나라 청년정책 현황 45
제1절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청년정책 현황 47
제2절 영역별 청년지원정책 특성 66
제3절 정부의 청년 고용 정책 흐름 82
제4절 시사점 89
제4장 우리나라 청년빈곤의 동태적 특성: 소득과 경제활동 93
제1절 청년빈곤의 동태적 분석 95
제2절 경기침체기 입직자의 경제활동상태가 빈곤에 미치는 효과 105
제5장 우리나라 청년(빈곤)의 다차원적 특성 149
제1절 소득, 지출, 재산 151
제2절 주거 182
제3절 시간사용 207
제6장 우리나라 청년의 다차원적 빈곤 239
제1절 문제 제기 241
제2절 이론적 배경 243
제3절 다차원 빈곤지수 개발 247
제4절 분석 결과 267
제7장 결론 및 정책대응 방안 283
제1절 결론 및 한계 285
제2절 정책대응 방안 291
참고문헌 303
부록 317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7-10
ISBN
9788968274558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공공부조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