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Ⅳ) -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 Study of Social Problem and Social Cohesion in Korea with Policy Recommendations

제목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Ⅳ) -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 Study of Social Problem and Social Cohesion in Korea with Policy Recommendations
저자

정해식 ; 김미곤 ; 여유진전진아김문길 ; 우선희 ; 최준영

키워드
사회통합 ; 정신건강 ; 물질적 박탈 ; 사회갈등 ; 공정성 인식
발행연도
2017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이 경험하는 불안과 불신, 불만이라는 사고방식의 현상과 관계를 분석하여, 한국 사회의 통합 증진을 위한 단초를 쌓아 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의 성인 남녀 3,839명을 대상으로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트라우마 경험과 정신건강의 관계 분석, 물질적 박탈과 정신건강의 관계, 사회갈등과 정신건강의 관계, 사회적 불안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조기 개입과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강화와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 복지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령에 따라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영향도가 달랐으므로 개별화된 접근이 제안되며, 사회통합 증진을 위해 사회구조의 정상적인 작동에 대한 믿음을 줄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사회갈등 인식, 그리고 이러한 갈등을 해결해 가는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부가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social problem and social cohes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social problems under the categories of “mental illness,” “perceived social conflict”, and “unfairness.” We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trauma and mental health, deprivation and mental health, conscious conflict and mental health, and social anxiety and social cohesion.
This study i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of social cohesion that focus on happiness, social mobility, Koreans’ perceived social cohesion. As a part of this study, and in line with other studies, a face-to face survey was conducted of a total of 3,839 adult Koreans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questions concerning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conscious conflict, and psycho-social anxie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August of 2017.
This report is comprised of seven chapters. Following Chapter 1, an introduction, Chapter 2 suggests a theoretical model of social problems and social cohesion. From chapter 3 on, we present the main results from this surve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ental health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rauma experience. Second, depriv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Third, the level of perceived conflict varied across different social groups, but the direction was different than expected. Fourth, those with psycho-social anxiety reported lower levels of perceived social cohesion, with their view of social system as unfair, corrupt and unable to adequately respond to the risks they face.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early intervention is necessary in trauma experience and that programs for enhancing resilience should be strengthened.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promoting integrated welfare strategies for old-age. In addition, to promote social cohesion, it is necessary that the social system should be able to everyone’s psycho-social health need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3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16
제3절 조사 설계 및 내용 18
제2장 이론적 배경: 사회통합 개념의 확대를 위한 시도 37
제1절 사회통합 개념의 이론적 검토 39
제2절 사회통합과 사회병리의 관계 45
제3장 트라우마 경험과 정신건강 간 관계 5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3
제2절 연구 방법 56
제3절 분석 결과 60
제4절 소결 75
제4장 물질적 박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7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9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80
제3절 박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84
제4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100
제5장 갈등과 정신건강의 사회경제적 맥락과 사회통합 103
제1절 서론 105
제2절 이론적 배경 107
제3절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과 경험 109
제4절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정신건강 125
제5절 갈등과 정신건강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 130
제6절 소결과 정책 시사점 136
제6장 사회적 불안과 사회통합: 사회구조 인식의 영향 분석 14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43
제2절 연구 개요 및 모형 145
제3절 분석 결과 149
제4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167
제7장 결론 및 연구 함의 171
제1절 연구 요약 173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정책 제언 176
참고문헌 183
부 록
부록 1.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표본 설계 191
부록 2.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설문지 204
부록 3.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기초 분석 224
부록 4. 사회통합 정책영향평가 4개년 지속 문항 비교 408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7-52
ISBN
9788968274848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