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통계로 본 건강불평등 = Developing Health Inequalities Report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 Health Inequality Statistics

제목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통계로 본 건강불평등 = Developing Health Inequalities Report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 Health Inequality Statistics
저자

김동진 ; 채수미 ; 최지희 ; 이정아 ; 김창엽 ; 박유경 ; 최영은 ; 김명희 ; 김유미 ; 류한소

키워드
건강불평등 ; 의료불평등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발행연도
2017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세계적으로 건강불평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위원회’에서는 건강불평등을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닌, 사회적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는 현상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건강불평등 해소를 목적으로 건강불평등 현황을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정책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에 이르기까지를 다루는 중장기 연구이다. 올해는 2차 연도 연구로서 “통계로 본 건강불평등”이란 부제를 달고 우리나라 건강불평등 현황과 정책에 대해 모니터하였다.

The second year part of a multi-year project on monitoring health equity in Korea, this study has two aims. First, to show the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by using the statistical measures. Second, to reassess the concepts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s a tool for monitoring a policies to tackle heath inequalities.
The authors analyzed health inequality based on research conducted three years ago, ‘Developing Health Inequalities Report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there are three dimensions that causes and consequences of health inequality: social structure, intermediary determinants, and health outcomes.
We also developed the indicators to measure inequalities in health, especially a perception of subjective health inequality and unmet needs for health care. Then using these indicators, we measured the phenomenon of health inequality.
In addition, we examined the benefits and challenges with the use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or policy monitoring. To review the inequitable and equitable aspects of health policy, we choose the tobacco cessation policy.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부 서 론 13
제1장 연구 배경 15
제1절 중장기 연구 계획 17
제2절 1차 연도 연구 결과 20
제2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27
제2절 연구 목적 37
제3장 연구 내용과 방법 39
제1절 연구 내용 41
제2절 연구 방법 43
제2부 건강불평등 현황 모니터링 47
제1장 서론 49
제2장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53
제1절 선행연구 검토 55
제2절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69
제3장 연구 내용과 방법 71
제1절 건강불평등 지표 선정 기준 73
제2절 지표 생산 방법

78
제4장 연구 결과 85
제1절 건강불평등 지표 및 자료원 87
제2절 지표별 산출 결과 92
제3부 건강불평등 지표 개발 339
제1장 주관적 건강불평등 인식 측정 도구 개발 341
제1절 서론 343
제2절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344
제3절 연구 내용과 방법 349
제4절 연구 결과 361
제2장 미충족 의료불평등 측정 도구 개발 393
제1절 서론 395
제2절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398
제3절 연구 내용과 방법 408
제4절 연구 결과 417
제4부 건강불평등 정책 모니터링 4

69
제1장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및 그 조치에 대한 모니터링 471
제1절 서론 473
제2절 연구 방법 477
제3절 연구 결과 478
제2장 건강불평등 정책 모니터링 515
제1절 서론 517
제2절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518
제3절 연구 내용과 방법 521
제4절 연구 결과 522
제5부 결론 및 정책 제언 541
제1장 주요 연구 결과 및 함의 543
제1절 건강불평등 현황 모니터링 545
제2절 주관적 건강불평등 인식 측정 도구 개발 551
제3절 미충족 의료불평등 측정 도구 개발 555
제4절 건강불평등 정책 모니터링 561
제2장 정책 제언 567
제1절 건강불평등 현황 모니터링 569
제2절 주관적 건강불평등 인식 측정 도구 개발 571
제3절 미충족 의료불평등 측정 도구 개발 573
제4절 건강불평등 정책 모니터링 575
참고문헌 579
부 록 597
부록 1. 지표 정의 및 산출식 597
부록 2. 소득수준별 의료이용 지표 산출 결과 626
부록 3. 주관적 건강불평등 인식 조사표(면접조사용) 637
부록 4. 주관적 건강불평등 인식 주요 결과표 644
부록 5. 미충족 의료불평등(면접조사용) 65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7-31
ISBN
9788968274893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