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우리나라 청소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형성 변화 과정: 가족, 학교, 지역사회 각 영역별 결속형 사회적 자본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탐색 = The Process of Bonding Social Capital Formation in Korean Adolescents: Exploring Family, School,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 Trajectories and Their Associated Predictor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유창민
dc.date.accessioned2018-04-13T01:32:15Z
dc.date.available2018-04-13T01:32:15Z
dc.date.created2018-03-31
dc.date.issued2018-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4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족 내, 학교 내, 지역사회 내 결속형 사회적 자본의 변화과정과 예측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교 1학년 코호트의 1차년도부터 6차년도까지 총 6개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대상은 2,344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족 사회적 자본은 시간이 흘러도 변화 없이 유지되는 경향, 학교 사회적 자본은 증가하는 경향,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결속형 사회적 자본의 변화궤적에 대한 예측요인 유형이 첫째 심화요인(가족 사회적 자본=성별; 학교 사회적 자본=없음;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가구소득), 둘째 유지요인(가족 사회적 자본=가족구조; 학교 사회적 자본=형제유무, 가구소득;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성별, 성적만족도, 형제유무), 셋째 완화요인(가족 사회적 자본=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숙달지향목적; 학교 사회적 자본=성별,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숙달지향목적;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숙달지향목적), 넷째 무영향요인(가족 사회적 자본=성적만족도, 형제유무, 가구소득; 학교 사회적 자본=성적만족도, 가족구조;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가족구조)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서는 개인, 가족, 학교체계수준의 종합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예측요인의 유형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family, school, and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 trajectories and their predictors for Koreans adolescents. For these purposes, we us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nvolving 2,34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from 2010, 2011, 2012, 2013, 2014, and 2015. Adolescent’s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 have maintained with time,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 have increased with time, and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 have decreased with time. 2) The predictors that affect bonding social capital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①intensifi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gender;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non;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income), ② maintain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family structure;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sibling existence, income;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gender, grade satisfaction, sibling existence), ③alleviat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self-esteem, community spirit, academic mastery goal;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gender, self-esteem, community spirit, academic mastery goal;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 self-esteem, community spirit, academic mastery goal), ④ non effect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grade satisfaction, sibling existence, income;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grade satisfaction, family structure;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family struc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intervention in family, school, and community is needed for the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n error occurred on the license name.
dc.rights.uriAn error occurred getting the license - uri.
dc.title우리나라 청소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형성 변화 과정: 가족, 학교, 지역사회 각 영역별 결속형 사회적 자본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탐색
dc.title.alternativeThe Process of Bonding Social Capital Formation in Korean Adolescents: Exploring Family, School,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 Trajectories and Their Associated Predictor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결속형 사회적 자본
dc.subject.keyword가족
dc.subject.keyword학교
dc.subject.keyword지역사회
dc.subject.keyword잠재성장모형
dc.subject.keywordBonding Social Capital,
dc.subject.keywordFamily
dc.subject.keywordSchool
dc.subject.keywordCommunity
dc.subject.keywordLatent Growth Curve Model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8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18-03-31
dc.citation.startPage556
dc.citation.endPage59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556-59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8 No.1, pp.556-595
dc.date.dateaccepted2018-04-13T01:32:15Z
dc.date.datesubmitted2018-04-13T01:32:15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