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어판 돌봄수혜자 자기효능감 척도: KCRES-SF 척도와 수정된 KCRES-SR 척도의 요인구조 확인 및 타당도 검증 = Korean Version of the Care-Receiver Efficacy Scale: Factor Structure Identification and Validity Test of the Short Form (KCRES-SF) and the Revised Shorter Form (KCRES-SR)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Jung, Soyon
dc.contributor.authorSeo, Honglan
dc.date.accessioned2018-04-11T06:24:57Z
dc.date.available2018-04-11T06:24:57Z
dc.date.created2018-03-31
dc.date.issued2018-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390
dc.description.abstractNoticing the potential utility of the Care-Receiver Efficacy Scale-Short Form for elderly Koreans, this study aimed (a) to investig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KCRES-SF), (b) to make the instrument a more abbreviated and culturally suitable (KCRES-SR), and (c) to compare the psychometric qualities of both versions. Face-to-face surve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77 Korean community dwelling elders who lived alone and received at least two hours of home care services from certified care assistants.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descriptive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upported the 1st order four-factor model of KCRES-SF. This model fitted the data reasonably well, satisfying all cutoff criteria. The KCRES-SR was validated with better model fits than KCRES-SF. Overall KCRES-SR is considered superior to KCRES-SF in that the former is more theoretically justifiable, concise, and culturally proper than the latter. However, it is recommended that one of the two version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study objectives.
dc.description.abstract돌봄수혜자 자기효능감 척도 단축형(Care Receiver Efficacy Scale-Short Form)의 한국 적용에 대한 잠재적 유용성에 주목하면서 기획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돌봄수혜자 자기효능감 단축형 척도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KCRES-SF)의 요인구조를 확인한다. 둘째, 이 척도를 한국문화에 적합하게 더욱 간략하게 만든 후(KCRES-SR), 모형적합도를 확인한다. 셋째, 두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등 심리측정적 특성을 비교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독거노인 생활관리사로부터 주 2시간 이상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377명의 노인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대면인터뷰가 실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일련의 확인적 요인분석과 기술분석이 실행되었다. 분석결과는 KCRES-SF 척도가 4개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된 1차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지지하였다. 이 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편이었으며, 모형수용도의 기준으로 제시된 지수를 모두 충족시켰다. 한편, 수정판인 KCRES-SR은 KCRES-SF 보다도 우수한 모형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이 수정판은 KCRES-SF 보다 이론적으로 보다 적절하고, 간략하며, 한국문화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두 척도가 서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 만큼, 어느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연구목적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
dc.languageeng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n error occurred on the license name.
dc.rights.uriAn error occurred getting the license - uri.
dc.titleKorean Version of the Care-Receiver Efficacy Scale: Factor Structure Identification and Validity Test of the Short Form (KCRES-SF) and the Revised Shorter Form (KCRES-SR)
dc.title.alternative한국어판 돌봄수혜자 자기효능감 척도: KCRES-SF 척도와 수정된 KCRES-SR 척도의 요인구조 확인 및 타당도 검증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Self-Efficacy
dc.subject.keywordElderly Care-Receiver
dc.subject.keywordValidity Test
dc.subject.keyword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c.subject.keyword자기효능감
dc.subject.keyword노인 돌봄수혜자
dc.subject.keyword타당도 검증
dc.subject.keyword확인적 요인분석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8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18-03-31
dc.citation.startPage216
dc.citation.endPage24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216-24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8 No.1, pp.216-247
dc.date.dateaccepted2018-04-11T06:24:57Z
dc.date.datesubmitted2018-04-11T06:24:57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